경기도
고양시 용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실 무덤. 사적 제198호. 경릉·창릉·익릉· 명릉·홍릉의 5개 능이 들어서 있어 서오릉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 다음가는 큰 규모의 능이다.
1457년(세조 3) 세조의 아들이자 세자의 자리에 있던 장(뒤에 덕종으로 추존됨)이 세상을 떠나자 세조는 전국을 뒤쳐 풍수지리적으로 묘를 쓰기에 좋은 땅을 찾도록 했고, 그 결과 정해진 곳이 지금의 서오릉 터이다. 이렇게 하여 덕종의 능인 경릉이 처음으로 들어섰고, 이후 그 곁에 덕종의 추존에 따라 살아 생전에 왕비의 자리에 오른 덕종의 비 소혜 왕후 한씨의 무덤이 들어서 지금의 경릉이 되었다. 경릉은 왕의 무덤이 왼쪽에 놓여 있고 왕비의 무덤이 오른쪽에 놓여 있어 다른 일반적인 능에서의 위치와 반대되는데, 이는 덕종이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세자의 신분으로 죽었기 때문에 세자묘의 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한 때문이다. 그러나 소혜 왕후 한씨는 왕비의 신분으로 죽었기 때문에, 능은 왕릉의 형식을 갖추었다.
경릉이 자리잡은 그 일대가 길한 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후로도 왕릉이 줄지어 들어서게 되는데, 경릉의 뒤를 이어 1470년(성종 1)에 들어선 능은 예종과 그의 계비 안순 왕후 한씨의 창릉이다. 예종은 덕종의 아우로 단 1년 동안 왕위에 머물다 죽었다. 창릉 주변의 석물 배치는 《국조오례의》의 예를 따르고 있으며, 상석을 받친 석족에 문고리 모양을 조각한 것과 돌로 만든 난간 기둥 머리의 장식이 특이하다.
1681년(숙종 7)에는 숙종의 비인 인경 왕후 김씨의 익릉이 들어섰는데, 그 능표는 송시열이 지었으며 글씨는 심익현이 썼다.
1721년(경종 1)에는 숙종과 그의 계비 인현 왕후 민씨의 쌍릉인 명릉이 만들어졌는데, 명릉에는 숙종의 또다른 계비인 인원 왕후 김씨의 능도 함께 자리하고 있다. 명릉은 무덤 주위에 늘어선 석물들의 크기가 실물 크기에 가까워지고 함께 묻은 부장품의 양도 적어지는 등 조선의 능 양식 변화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757년(영조 33)에는 영조의 비인 정성 왕후 서씨의 능인 홍릉이 들어서 더욱 큰 무리를 이루었다. 능을 정할 당시 영조는 자신이 죽은 뒤 함께 묻힐 작정으로 그 옆자리를 비워 놓았으며, 주위의 석물들도 이후 쌍릉이 될 것을 예상하여 배치했는데, 정작 영조는 동구릉 경내에 묻히게 되었고, 현재 홍릉 오른쪽에 빈 공간이 남아 있게 되었다. 홍릉의 양식은 명릉의 양식과 거의 비슷한데, 이는 두 능이 만들어진 시간이 20일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서오릉에는 이상과 같은 5기의 왕릉 외에 명종의 첫째 아들 순회 세자가 묻힌 순창원이 있으며, 1970년에는 숙종의 후궁인 희빈 장씨의 묘가 이곳으로 옮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