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18일 (금) (음 3월 21일, 丁巳 )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서우 학회 (西友學會)
기울어진 나라를 구하고자 1906년 10월 서울에서 평안도 황해도 출신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구국 계몽단체로서, 우리나라 최초로 생긴 학회이다.
◈ 지식지도 관계
서우 학회 (西友學會) 1906 신소설 (新小說) 한국의 독립운동 1906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7년 1908년 1909년 1859 박은식 (朴殷植) 1875 노백린 (盧佰麟) 1875 김달하 (金達河) 19c중 정운복 (鄭雲復) 1833 최익현 (崔益鉉)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1 임병찬 (林秉瓚) 1856 신돌석 (申乭石) 1862 이인직 (李人稙) 1866 이회영 (李會榮) 1868 막심 고리키 1873 이동휘 (李東輝) 1877 이갑 (李甲) 1877 헤르만 헤세 1878 안창호 (安昌浩) 1879 김창숙 (金昌淑) 1890 김상옥 (金相玉) 1906 한북 흥학회 1908 서북 학회 1898 제국 신문 1898 황성 신문 1904 국민 교육회 1904 일진회 (一進會) 1905 대한 매일 신보 1905 통감부 (統監府) 1906 대한 자강회 1906 만세보 (萬歲報) 1906 신민회 (新民會) 1907 대한 협회 (大韓協會) 1908 관동 학회 (關東學會) 1908 기호 흥학회 1908 호남 학회 (湖南學會)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 독립 대동단 1919 의열단 (義烈團) 1906 귀의 성 (鬼--聲) 1906 혈의 누 (血--淚) 1915 한국통사 1919 3·1 운동 (三一運動) (미정의) 곽윤기 (미정의) 김기주 (미정의) 김명준 (미정의) 김병도 (미정의) 김병일 (미정의) 김석환 (미정의) 김유탁 (미정의) 김윤오 (미정의) 신석하 (미정의) 유동작 (미정의) 이유정 (미정의) 장응량 (미정의) 최재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