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신윤복(申潤福)
•
날개(-)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시경(詩經)
•
어부가(漁父歌)
•
현대 소설(現代小說)
•
심청전(沈淸傳)
•
무정(無情)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김장생(金長生)
•
논어집주(論語集註)
•
길재(吉再)
•
삼국사기(三國史記)
•
이방인(L’Étranger)
•
미인도(美人圖)
•
공주 민란(公州民亂)
▣
성현 (成俔)
바로가기
[1439 ~ 1504] 조선 초기의 명신, 학자. 호는 용재傭齋) 또는 허백당(虛白堂)이고,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저서로는 《허백당집》 《태평통재》 《용재총화》 등이 있다. 특히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 사회, 문화, 제도를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인물
:
인물 > 한국
[1439 ~ 1504] 조선 초기의 명신, 학자. 호는 용재(傭齋) 또는 허백당(虛白堂)이고,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1462년에 문과, 1466년에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하고 박사로 등용된 뒤 예문관 수찬 등을 지냈다. 1488년에 평안도 관찰사로 있을 때 명나라 사신을 맞아 글을 주고받았는데, 사신들은 그의 뛰어난 시에 크게 감탄했다 한다.
1493년에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가 그 뒤 예조 판서에 올랐다. 그 해에 성현은
유자광
등과 악보를 정리한 《
악학궤범
》을 편찬했고, 관상감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연산군
이 왕위에 오른 뒤 공조 판서와 대제학을 겸하였다.
저서로는 《허백당집》 《태평통재》 《
용재총화
》 등이 있다. 특히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 사회, 문화, 제도를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숨기기]
성현
(成俔)
1439 ~ 1504] 조선 초기의 명신, 학자.
호는 용재(傭齋) 또는 허백당(虛白堂), 시호는 문대(文戴)
1493년에
유자광
등과 《
악학궤범
》을 편찬
저서로는 《허백당집》 《태평통재》 《
용재총화
》 등
◈ 지식지도
관계
성현
(成俔)
1439
조의제문
(弔義帝文)
1392
조선
(朝鮮)
1462
유자광
(柳子光)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1418
강순
(康純)
1427
노사신
(盧思愼)
1431
김종직
(金宗直)
1434
한치형
(韓致亨)
1435
정괄
1436
신승선
(愼承善)
1437
이극균
(李克均)
1441
남이
(南怡)
1450
신수근
(愼守勤)
1457
김수동
(金壽童)
1461
성희안
(成希顔)
1467
박원종
(朴元宗)
1469
조선 성종
(成宗)
1506
조선 중종
(中宗)
훈구파
(勳舊派)
용재총화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1393
납씨가
(納氏歌)
1393
문덕곡
(文德曲)
대동야승
(大東野乘)
동동
(動動)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樂章歌詞)
여민락
(與民樂)
정동방곡
(靖東方曲)
처용가
(處容歌)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정읍사
(井邑詞)
•
성세창(成世昌)
•
1493년
•
야담(野談)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용재총화
慵齋叢話
총서
성현 (成俔)
(219)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