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날개(-)
•
무정(無情)
•
허생전(許生傳)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신윤복(申潤福)
•
담양군(潭陽郡)
•
호질(虎叱)
•
대학(大學)
•
용부가(庸婦歌)
•
시경(詩經)
•
이날치(李捺致)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박유전(朴裕全)
•
김유정(金裕貞)
•
허브드 주(Khovd)
•
바다(-)
•
김장생(金長生)
•
황조가(黃鳥歌)
▣
송진우 (宋鎭禹)
바로가기
[1889 ~ 1945] 정치가, 독립 운동가. 호는 고하(古下)이며, 전남 담양에서 태어났다.
인물
:
인물 > 한국
[1889 ~ 1945] 정치가, 독립 운동가. 호는 고하(古下)이며, 전남 담양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일본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독립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7년에 중앙 중학교 교장으로 있으면서 교육 사업에 이바지하였다.
3·1 운동
때는
민족 대표 48인
의 한 사람으로 독립 운동을 지도하다가 감옥에 갇히기도 하였다.
1921년에 동아 일보 사장에 취임하였으나, 일제의 압력으로 물러나 만국 기독교 청년회가 주최하는 태평양 회의에 대표로 참석하였다.
광복 후에는
한국 민주당
을 조직하여 정부 수립을 위해 활동하다가 서울 종로구 원서동 자택에서 암살당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송진우
(宋鎭禹)
1889
민족 대표 48인
3·1절
(三一節)
항일 운동
1904
한·일 의정서
1918
14개조 평화 원칙
1919
독립 선언서
1855
박인호
(朴寅浩)
1856
우드로 윌슨
1861
손병희
(孫秉熙)
1866
노헌용
(盧憲容)
1873
함태영
(咸台永)
1874
이경섭
(李景燮)
1875
이승만
(李承晩)
1876
김홍규
(金洪奎)
1877
김병로
(金炳魯)
1879
한용운
(韓龍雲)
1880
신규식
(申圭植)
1880
현순
(玄楯)
1887
원세훈
(元世勳)
1888
스코필드
민족 대표 33인
1889
백관수
(白寬洙)
1890
최남선
(崔南善)
1891
김성수
(金性洙)
1891
김도태
(金道泰)
1893
현상윤
(玄相允)
1894
조병옥
(趙炳玉)
1895
장덕수
(張德秀)
1897
윤보선
(尹潽善)
1899
정노식
(鄭魯湜)
1945
한국민주당
1949
민주국민당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19
강서 학살 사건
•
조세핀 캠벨
•
서상일(徐相日)
•
송계백(宋繼白)
•
신가정(新家庭)
•
1945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동아일보사장 송진우씨 면영
채만식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