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1일 (금)
(음 3월 14일, 庚戌)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명량 해전(鳴梁海戰)
•
이상(李箱)
•
논어집주(論語集註)
•
난중일기(亂中日記)
•
날개(-)
•
소학(小學)
•
광염소나타(狂炎sonata)
•
동백꽃( )
•
만분가(萬憤歌)
•
고공가(雇工歌)
•
신안군(新安郡)
•
채만식(蔡萬植)
•
고전 문학(古典文學)
•
밀라노 칙령
•
서한문(書翰文)
•
경기도(京畿道)
•
안목(安牧)
•
김상용(金尙容)
•
나옹(懶翁)
•
유진오(兪鎭午)
▣
수이전 (殊異傳)
바로가기
고려 문종 때 박인량(朴寅亮)이 지었다는설화집. 우리 나라 최초의 설화집으로 신라의 설화가 수록되었던 책이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고려 문종 때
박인량(朴寅亮)
이 지었다는 설화집. 우리 나라 최초의 설화집으로 신라의 설화가 수록되었던 책이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 책에 실려 있던 설화 중 10편이 《
삼국유사
》를 비롯한 다른 여러 책들에 실려 전한다.
지은이가
최치원
이라는 설과
김척명(金陟明)
이라는 설이 있다.
수록 내용
1. 阿道傳 - 해동고승전
2. 圓光法師傳 - 삼국유사
3. 寶開 - 태평통재
4. 崔致遠 - 태평통재
5. 迎烏細烏 - 필원잡기
6. 脫解王 - 삼국사절요
7. 唐太宗牧丹子橙怜花 - 삼국사절요
8. 蘇利庵 - 신증동국여지승람
9. 首揷石枏 -
대동운부군옥
10. 竹筒美女 - 대동운부군옥
11. 老翁化狗 - 대동운부군옥
12. 仙女紅袋 - 대동운부군옥
13. 虎願 - 대동운부군옥
14. 心火繞塔 - 대동운부군옥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이전(殊異傳))]
[숨기기]
수이전
(殊異傳)
고려 문종 때
박인량(朴寅亮)
이 지었다는 설화집.
우리 나라 최초의 설화집으로
신라의 설화가 수록되었던 책이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 책에 실려 있던 설화 중 10편이
《
삼국유사
》를 비롯한 다른 여러 책들에 실려 전한다.
지은이가
최치원
이라는 설과
김척명(金陟明)
이라는 설이 있다.
◈ 지식지도
관계
수이전
(殊異傳)
설화
(說話)
야사
(野史)
감생 설화
거인 설화
거타지 설화
김알지 설화
단군 신화
(檀君神話)
방이 설화
선경 설화
(仙境說話)
설화 문학
(說話文學)
아기 장수 설화
향가
(鄕歌)
1075년
김척명
(金陟明)
1046
박인량
(朴寅亮)
857
최치원
(崔致遠)
신라 십현
1046
고려 문종
(文宗)
1075
김부식
(金富軾)
1206
일연
(一然)
1274
충렬왕
(忠烈王)
1534
권문해
(權文海)
대동운부군옥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계림잡전
계원필경
(桂苑筆耕)
고금록
(古今錄)
대동야승
(大東野乘)
두더지 혼인 설화
야래자형 설화
연려실기술
열조통기
용재총화
의견 설화
(義犬說話)
조신 설화
추남설화
토황소격문
필원잡기
(筆苑雜記)
해동고승전
화랑세기
해동야언
1080
소화집
(小華集)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1254
보한집
(補閑集)
1260
파한집
(破閑集)
1342
역옹패설
(櫟翁稗說)
875
황소의 난
(黃巢--亂)
연오랑 세오녀 설화
•
야담(野談)
•
아도전(阿道傳(亞))
•
죽통 미녀 설화
•
쌍녀분전기(雙女墳傳記)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수삽석남
首揷石枏
고전 수필
(35)
심화요탑
心火曉塔
고전 수필
(23)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