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8일 (화)
(음 3월 11일, 丁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정진사전(鄭進士傳)
•
오륜가(五倫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5교 9산(五敎九山)
•
최고운전(崔孤雲傳)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미오겐(myogen)
•
호르텐시우스법
•
미스터 방( )
•
불상(佛像)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두껍전(----傳)
•
진 시황제(始皇帝)
•
한국 문학(韓國文學)
•
윤한홍(尹漢洪)
•
김득연(金得硏)
•
헨리 모어(Henry More)
•
알타이 산맥
•
조용조(租庸調)
•
햄릿(Hamlet)
▣
여민락만 (與民樂慢)
바로가기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연회의 예식에사용되던 음악의 하나.
지식
:
예술 > 음악.무용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연회의 예식에 사용되던 음악의 하나. 《여민락》의 한 갈래로 경록무강지곡 만엽치요곡이라고도 한다. 모두 10장으로 나뉘며, 각 장은 11~12 마루로 이루어졌다. 세종 때 창제하여 조선 말까지 사용하였으며, 임금이 궁에서 나올 때와 들어갈 때 행악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향피리 대신 당피리를 사용하는 점과 장고 치는 방법이 향악과 다르기 때문에 당악계 음악으로 본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여민락만
(與民樂慢)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찰현악기끼리 다 해먹은(?)쇼킹한 “낙양춘” / 국립국악원 추천 음악
[음악 > 국악] (0)
02. 여민락만 /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2015.11.07.]
[음악 > 국악] (0)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2015.11.07.]
[음악 > 국악] (0)
음악을 좀 아는 임금의 노래, 백성과 더불어 즐기다 “여민락만” / 국립국악원 추천 음악
[음악 > 국악]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