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11월 20일 (목)
(음 10월 1일, 癸巳)
집계기준 : 2025년 11월 1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판소리(-)
•
한시(漢詩)
•
오이타 현(大分県)
•
정철(鄭澈)
•
1939년
•
덕수궁(德壽宮)
•
임실군(任實郡)
•
조선 세종(世宗)
•
가사(歌辭)
•
광통교(廣通橋))
•
경복궁(景福宮)
•
난중일기(亂中日記)
•
김동인(金東仁)
•
야담(野談)
•
뉴욕 주(State of New York)
•
서원(書院)
•
1938년
•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
신윤복(申潤福)
•
노브고로드 공국
▣
영창 대군 (永昌大君)
바로가기
[1606 ~ 1614]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의 아들. 선조의 14명의 아들 중 정비(正妃)인 인목 왕후가 낳은 유일한 아들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606 ~ 1614]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
의 아들. 선조의 14명의 아들 중 정비(正妃)인
인목 왕후
가 낳은 유일한 아들이다.
왕의 특별한 사랑을 받은 영창 대군은 이미 세자가 되어 있던
광해군
대신 세자가 될 가능성이 많았으나 선조가 갑자기 죽어 뜻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영창 대군은 왕위를 위협하는 인물이라 하여 강화에 귀양가게 되었고, 이듬해인
1614년
드디어 강화 부사 정항에 의해 참혹하게 죽었다.
[숨기기]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6 ~ 1614]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
의 아들.
선조의 정비(正妃)인
인목 왕후
가 낳은 유일한 아들
광해군
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에 귀양가게 되었고,
이듬해인 1614년 강화 부사 정항에 의해 참혹하게 죽었다.
◈ 지식지도
관계
영창 대군
(永昌大君)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67
선조
(宣祖)
1574
임해군
(臨海君)
1608
광해군
(光海君)
1580
원종
(元宗)
(미정의)
인성군
(미정의)
흥안군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14년
1602
소북파
(小北派)
1604
호성 공신
대북파
(大北派)
1392
조선
(朝鮮)
1637년
1623년
1618년
1604년
1608년
1499
이준경
(李浚慶)
1501
이황
(李滉)
1503
권철
(權轍)
1515
노수신
(盧守愼)
1516
심수경
(沈守慶)
1523
박순
(朴淳)
1526
정탁
(鄭琢)
1526
이양원
(李陽元)
1530
덕흥 대원군
1533
윤두수
(尹斗壽)
1534
김명원
(金命元)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39
이산해
(李山海)
1542
류성룡
(柳成籠)
1545
명종
(明宗)
1545
이순신
(李舜臣)
1547
이원익
(李元翼)
1550
유영경
(柳永慶)
1553
공빈 김씨
1555
의인왕후
(懿仁王后)
1555
인빈 김씨
1556
이항복
(李恒福)
1557
이귀
(李貴)
1560
이이첨
(李爾瞻)
1561
이덕형
(李德馨)
1562
가토 기요마사
1562
김제남
(金悌男)
1623
인조
(仁祖)
계축일기
(癸丑日記)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13
계축옥사
(癸丑獄事)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장릉
(章陵)
•
기자헌(奇自獻)
•
신흠(申欽)
•
인목대비 폐비 사건
•
1613년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옛날 옛적에 인천은
2025.08.29
◈
왕자가 죽은 살챙이 마을
【문화】
강화도는 유배 1번지라고 할 만하다. 많은 왕족들이 이곳으로 귀양을 왔고, 더러는 이곳에서 목숨을 잃었다. 대표적인 사람이 조선시대 최고의 폭군이었던 연산군과, 왕족으로 이곳에서 나무꾼 생활을 하다가 왕이 된 철종 임금, 그리고 광해군의 동생으로 8살 나이에 강화에 귀양 와서 목숨을 잃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이다.
4
|
강화군
,
강화도
,
조선 연산군
,
영창 대군
,
철종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광해군, 어머니를 유폐하고 동생을 죽이다 - 영상한국사 (176)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