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18일 (금)
(음 6월 24일, 戊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이상(李箱)
•
향가(鄕歌)
•
주봉전(朱奉傳)
•
운영전(雲英傳)
•
십장가(十杖歌)
•
나옹(懶翁)
•
신채호(申采浩)
•
석파랑
•
문화재 보호법
•
오세창(吳世昌)
•
공작(孔雀)
•
몽골([蒙古])
•
문학(文學)
•
난중일기(亂中日記)
•
구이저우성(貴州省)
•
정진사전(鄭進士傳)
•
주역(周易)
•
보성-순천갯벌
•
에도 막부(江戶幕府)
▣
오륜가 (五倫歌)
바로가기
광해군 4년(1612), 박선장이 지은 8수의 시조.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조
박선장
이 지은 8수의 시조.
1장은 부모의 은혜, 2장은 임금의 덕, 3장은 부부간의 공경, 4장은 형제간의 의리, 5장은 친구 간의 믿음과 의리, 6장은 오륜은 영원할 것임을, 7장은 의식이 부족할 때에도 예를 갖출 것을, 8장은 이웃을 사랑할 것을 시조로 읊었다.
《수서집》에 실린 이 작품은 다른 오륜가와 비교하였을 때, 은유적인 표현 기법이나 시어의 선택에 있어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꼽힌다.
그는 광해군 4년인 1612년에 구만 서당을 짓고, 동네의 선비들을 교육하기 위해 이 시조를 지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오륜가
(五倫歌)
연시조
(連時調)
시조
(時調)
어부가
(漁父歌)
1555
박선장
(朴善長)
1561
박인로
(朴仁老)
성윤문
(成允文)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524
조목
(趙穆)
1528
남몽오
(南夢鰲)
1535
정세아
(鄭世雅)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41
이덕홍
(李德弘)
1542
류성룡
(柳成籠)
1587
윤선도
(尹善道)
구만서원
(龜灣書堂)
오륜가
(五倫歌)
강호사시가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孤山遺稿)
노계집
(蘆溪集)
누항사
(陋巷詞)
도산십이곡
매화사
(梅花詞)
오륜가
(五倫歌)
오우가
(五友歌)
호아곡
(呼兒曲)
노계가
(蘆溪歌)
1580
훈민가
(訓民歌)
1598
태평사
(太平詞)
1601
조홍시가
1605
선상탄
(船上歎)
1619년
독락당
(獨樂堂)
1635
영남가
(嶺南歌)
1651
어부사시사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오륜가
五倫歌
시조
박선장(朴善長)
(98)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