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30일 (수)
(음 4월 3일, 己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유배 가사(流配歌辭)
•
조용조(租庸調)
•
이태준(李泰俊)
•
통도사(通度寺)
•
화왕계(花王戒)
•
옥소전(玉簫傳)
•
채만식(蔡萬植)
•
도화원기(桃花源記)
•
날개(-)
•
박씨전(朴氏傳)
•
한시(漢詩)
•
얄타 회담(Yalta會談)
•
김시습(金時習)
•
훈몽자회(訓蒙字會)
•
화사(花史)
•
윤동주(尹東柱)
•
전우치전(田禹治傳)
•
춘향전(春香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부여군(扶餘郡)
▣
오륜가 (五倫歌)
바로가기
광해군 4년(1612), 박선장이 지은 8수의 시조.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조
박선장
이 지은 8수의 시조.
1장은 부모의 은혜, 2장은 임금의 덕, 3장은 부부간의 공경, 4장은 형제간의 의리, 5장은 친구 간의 믿음과 의리, 6장은 오륜은 영원할 것임을, 7장은 의식이 부족할 때에도 예를 갖출 것을, 8장은 이웃을 사랑할 것을 시조로 읊었다.
《수서집》에 실린 이 작품은 다른 오륜가와 비교하였을 때, 은유적인 표현 기법이나 시어의 선택에 있어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꼽힌다.
그는 광해군 4년인 1612년에 구만 서당을 짓고, 동네의 선비들을 교육하기 위해 이 시조를 지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오륜가
(五倫歌)
연시조
(連時調)
시조
(時調)
어부가
(漁父歌)
1555
박선장
(朴善長)
1561
박인로
(朴仁老)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524
조목
(趙穆)
1528
남몽오
(南夢鰲)
1535
정세아
(鄭世雅)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41
이덕홍
(李德弘)
1542
류성룡
(柳成籠)
1587
윤선도
(尹善道)
구만서원
(龜灣書堂)
오륜가
(五倫歌)
강호사시가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孤山遺稿)
노계집
(蘆溪集)
누항사
(陋巷詞)
도산십이곡
매화사
(梅花詞)
선상탄
(船上歎)
오륜가
(五倫歌)
오우가
(五友歌)
태평사
(太平詞)
호아곡
(呼兒曲)
노계가
(蘆溪歌)
1580
훈민가
(訓民歌)
1601
조홍시가
1619년
독락당
(獨樂堂)
1635
영남가
(嶺南歌)
1651
어부사시사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오륜가
五倫歌
시조
박선장(朴善長)
(20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