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9일 (수)
(음 3월 12일, 戊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정진사전(鄭進士傳)
•
조용조(租庸調)
•
여수 8경(麗水八景)
•
병산 서원(屛山書院)
•
오륜가(五倫歌)
•
5교 9산(五敎九山)
•
토정비결(土亭秘訣)
•
향가(鄕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서유기(西遊記)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조지 버클리
•
불상(佛像)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신계영(辛啓榮)
•
현진건(玄鎭健)
•
날개(-)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위만 (衛滿)
바로가기
[? ~ ?] 위만 조선의 시조(재위 기원전 194~?). 중국 연나라 사람으로 부하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고조선의 준왕은 그를 믿고 후대하여 북방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만은 유민(流民)들의 세력을 기반으로 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쫓아 내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위만 조선을 세웠다.
인물
:
인물 > 한국
[? ~ ?]
위만 조선
의 시조(재위 기원전 194~?). 중국
연나라
사람으로 부하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
으로 망명하였다. 고조선의
준왕
은 그를 믿고 후대하여 북방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만은 유민(流民)들의 세력을 기반으로 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쫓아 내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위만 조선
을 세웠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위만
(衛滿)
-194
단군 조선
(檀君朝鮮)
상투
한사군
(漢四郡)
팔조금법
부여
(夫餘)
삼한
(三韓)
고조선
(古朝鮮)
연
(燕)
-194
위만 조선
마한
(馬韓)
청동기 시대
기자 조선
진국
(辰國)
기원전 108년
기원전 222년
-206
한
(漢)
우거왕
(右渠王)
준왕
(準王)
단군
(檀君)
부왕
(否王)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287
제왕운기
•
기원전 190년대
•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93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사기 열전(55)
조선 열전
동양역사
사마천
(1566)
후한서 열전(74)
권79 (上) (열전69) 유림열전 上
동양역사
범엽(范曄)
(39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