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시경(詩經)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명심보감(明心寶鑑)
•
정진사전(鄭進士傳)
•
한양도성(漢陽都城)
•
정극인(丁克仁)
•
두껍전(----傳)
•
이상(李箱)
•
조용조(租庸調)
•
이옥(李鈺)
•
채만식(蔡萬植)
•
만복사저포기
•
귀토설화(龜兔說話)
•
공장제 기계 공업
•
오감도(烏瞰圖)
•
태평천하(太平天下)
•
구운몽(九雲夢)
•
박씨전(朴氏傳)
•
구당서(舊唐書)
▣
유응부 (兪應孚)
바로가기
[?~1456] 조선 시대 사육신의 한 사람. 호는 벽량(碧梁)이고, 시호는 충목(忠穆)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인물
:
인물 > 한국
[?~1456] 조선 시대 사육신의 한 사람. 호는 벽량(碧梁)이고, 시호는 충목(忠穆)이다.
무과 시험에 급제한 후 벼슬길에 올라 세종과 문종의 총애를 받았다. 첨지중추원사, 평안도 절제사를 거쳐 1455년에 동지중추원사에 이르렀다. 같은 해 성삼문, 박팽년 등과 단종을 다시 왕위에 오르게 하는 계획을 세우다가
김질
의 배신으로 탄로되어 고문 끝에 죽었다.
학문이 깊었고 활쏘기에 뛰어났다. 시조 3수가 전하며, 숙종 때에 병조 판서의 벼슬이 내렸다.
시조
간밤에 부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落落長松)이 다 기울어 가노매라.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유응부
(兪應孚)
1406
동학사
(東鶴寺)
1456년
15세기
(15世紀)
1450년대
1450년
1451년
1452년
1453년
1454년
1455년
1457년
1458년
1459년
사육신
(死六臣)
1422
김질
(金礩)
1387
하위지
(河緯地)
1390
김종서
(金宗瑞)
1396
정인지
(鄭麟趾)
1402
정창손
(鄭昌孫)
1403
황보인
(皇甫仁)
생육신
(生六臣)
1406
유성원
(柳誠源)
1406
성승
(成勝)
1406
박쟁
(朴崝)
1409
최항
(崔恒)
1415
한명회
(韓明澮)
1416
권람
(權擥)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25
홍윤성
(洪允成)
1450
조선 문종
(文宗)
1452
조선 단종
(端宗)
1455
조선 세조
(世祖)
1420
집현전
(集賢殿)
1456
단종 복위 운동
1453
계유정난
(癸酉靖難)
•
육신전(六臣傳)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포천의 설화
2024.10.20
◈
(2) 유응부 장군 2
【문화】
유응부 선생은 기골이 장대하고 장군다운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쉬는 날이면 유응부, 유응신 형제가 모시고 나가서, 뛰어난 활 솜씨로 솔개가 날면 쏴서 어머니께 그 기쁨을 전해 드리곤 했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0
|
설화
,
유응부
,
포천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포천의 설화
2024.10.20
◈
(1) 유응부 장군 1
【문화】
유응부 선생은 소홀면 무봉리 충목단에 모셔진 어른으로, 사육신 중의 한 분이다. 그분에게는 지금 본관이 두 개인데, 그것은 기개 유씨와 철령 유씨 집안에서 서로 자기네가 유응부 선생의 후손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0
|
설화
,
유응부
,
포천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