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선제를 이룩하기 위한 범국민적 운동. 1987년 6월 10일에 일어났다.
전두환 (全斗煥) 정권이 민주화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1987년 4월 13일 '4·13 호헌 조치'를 발표하였다. 이것은 통일 민주당을 창당하려는 김영삼(金泳三)을 비롯하여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하여 군사 정권의 장기 집권을 위한 힘의 발산이었다. 이에 군사 정권을 반대하는 국민들의 민주화 투쟁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5월 18일에 일어났던 박종철 고문 살인 은폐 사건과 6월 9일 이한렬이 시위 도중 머리에 최루탄을 맞은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에 자극받은 민주 세력들은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라는 전국민적 민주화 투쟁의 중심 기구를 설치하였다.
6월 10일 민주당의 노태우(盧泰愚)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김영삼· 김대중 (金大中)·박형규(朴炯圭)· 김성수(金性洙) 등은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민주 항쟁을 하였다. 노태우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것은 전두환 정권 간선제 호헌 방침의 표출이었다. 국민들은 명동 성당 농성 투쟁· 최루탄 추방 대회·민주 헌법 쟁취 대행진 등의 시위·농성을 계속하였다.
대규모의 국민 저항 운동이 일어나자 전두환 정권은 사태 수습을 위한 조치로 '
6·29 선언'을 발표하였다. '6·29 선언'은 대통령 직선제 및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 선거법, 평화적 정부 이양을 주요 골자로 한 것이다.
평화적 정권 교체의 기틀을 마련한 6·10 민주 항쟁은
4·19 혁명과
광주 민주 항쟁의 정신을 계승한 역사적 소명(召命)을 다한 민중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