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7 ~ 1545] 조선 중종 때의 문신. 대윤(大尹)의 우두머리이다. 자는 임지(任之). 중종의 장인인 파원 부원군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의 제1계비인 장경 왕후의 오빠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이 되었다. 1523년(중종 18) 충청도 수군 절도사로 있을 때 왜선과 싸우다 패하여서 일반 사병으로 충군을 당하는 형벌을 받기도 하였다.
산후병으로 장경 왕후가 죽고 인종이 세자로 있을 때 중종의 계비 문정 왕후가 경원 대군을 낳자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세자를 보호해 주어야 한다는 강한 주장으로
문정왕후와 대립하였다.
1537년 김안로가 벼슬에서 밀려나고
윤원형(尹元衡) 등이 실권을 잡자, 이들과의 세력 다툼은 더욱 치열해서 두 왕자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여러 해 동안 암투(暗鬪)를 벌였다.
1543년부터 12대 인종의 외숙 윤임을 대윤(大尹), 13대 명종의 외숙 윤원형(尹元衡)을 소윤(小尹)으로 불렀으며, 중종 때부터 시작된 서로간의 모함은 끝이 없었다.
1544년 중종이 죽고 인종이 왕권을 물려받자 형조 판서를 거쳐 의정부의 종1품인 찬성에 올랐다.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죽고 1545년 명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문정 왕후가 정치에 깊이 관여하는 수렴 청정이 시작되었다. 그 후 문정 왕후의 수렴 청정을 기점으로 하여 대윤 일파를 제거하는
을사 사화(乙巳士禍)를 소윤이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윤임은 아들 3형제와 함께 사약을 받았다.
1577년(선조 10)에 그 죄가 없음이 밝혀져 신원되었다. 시호는 충의(忠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