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이극돈 (李克墩)
[1435 ~ 1503] 조선 초기의 문신. 시문에 밝았던 그는 1498년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사림파의 우두머리인 김종직이 세조를 비난하여 지은 《조의제문》이 실려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글을 실은 김일손 등을 죽여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이극돈 (李克墩) [1435 ~ 1503] 조선 초기의 문신. 1457년(세조 3년)에 문과에 급제, 성균관 직강과 응교 등을 지냈다. 이어 한성부 우윤· 대사헌· 형조 참판 등을 거쳐 1471년 좌리 동신 4등으로 광원군에 봉해지고, 1473년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때까지 가장 강한 세력을 잡고 있던 훈구파의 한 사람으로서 성종 이후 나타난 새로운 세력인 사림파와 늘 다투었다. 시문에 밝았던 그는 1498년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사림파의 우두머리인 김종직이 세조를 비난하여 지은 『조의제문』이 실려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글을 실은 김일손 등을 죽여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죽은 뒤 익평(翼平)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나, 후에 벼슬과 함께 도로 빼앗겼다.
◈ 지식지도 관계
이극돈 (李克墩) 1435 사림파 (士林派) 조의제문 (弔義帝文) 4대 사화 (四大士禍) 붕당 정치 성리학 (性理學) 영남 학파 사화 (士禍)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1575 동·서 분당 (東西分黨) 1498년 1431 김종직 (金宗直) 1437 이극균 (李克均) 1464 김일손 (金馹孫) 1353 길재 (吉再) 1389 김숙자 (金叔滋)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5 양성지 (梁誠之) 1417 신숙주 (申叔舟) 1445 유호인 (兪好仁) 1450 정여창 (鄭汝昌) 1454 김굉필 (金宏弼) 1454 남효온 (南孝溫) 1454 조위 (曺偉) 1454 최부 (崔溥) 1455 조선 세조 (世祖) 1458 김전 (金詮) 1462 유자광 (柳子光) 1469 조선 성종 (成宗) 1471 남곤 (南袞) 1471 이목 (李穆)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훈구파 (勳舊派) 성종실록 (成宗實錄) 청구풍아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08년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