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이색 (李穡)
[1328 ~ 1396] 고려 말기의 문신, 학자.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며, 고려 삼은 중의 한 사람이다.
이색 (李穡) 고려 삼은의 한 사람. 고려 3은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
◈ 지식지도 관계
이색 (李穡) 1328 1298 이곡 (李穀) 1368 이종선 (李種善) 1287 이제현 (李齊賢) 1346 조준 (趙浚) 1353 길재 (吉再) 1354 남은 (南誾) 1337 정몽주 (鄭夢周) 1337 정도전 (鄭道傳) 1369 변계량 (卞季良) 1352 권근 (權近) 성리학 (性理學) 실학 (實學) 양명학 (陽明學) 유교 (儒敎) 정주학 (程朱學) 주기론 (主氣論) 주리론 (主理論) 주자학 (朱子學) 동학사 (東鶴寺) 1356년 14세기 1694년 1391년 1398년 1374년 1354년 1359년 고려 삼은 (高麗三隱) 1017 주돈이 (周敦燎) 1032 정호 (程顥)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247 백이정 (白頤正) 1262 권부 (權溥) 1263 우탁 (禹倬) 1388 창왕 (昌王) 1389 김숙자 (金叔滋) 1392 조선 태조 (太祖) 1400 조선 태종 (太宗) 1431 김종직 (金宗直) 1454 김굉필 (金宏弼) 1478 김안국 (金安國) 1482 조광조 (趙光祖) 1485 김정국 (金正國)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1225 정방 (政房) 1650 임강서원 1258 쌍성총관부 동문선 (東文選) 절부조씨전 1342 역옹패설 (櫟翁稗說) 1398 제1차 왕자의 난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부벽루 浮碧樓 한시 이색(李穡) (32)
◈ 참조 원문/전문
두문동록 杜門洞錄 근/현대 소설 김동인 (11)
 
◈ 최근등록순
2017.12.18
신륵사 알아보기(나옹화상과 이색) (2017. 12. 18.)
【여행】 오늘은 지공화상, 나옹화상, 무학대사의 삼화상의 초상화가 있는 조사당(祖師堂)과 명당자리라 알려진 나옹화상의 부도(사리탑)인 석종(石鐘), 석등(石燈), 그리고 우왕의 사부인 목은 이색(李穡)이 고향 경북 영덕의 선배인 나옹화상의 비문(碑文)을 지은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