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중용(中庸)
•
무정(無情)
•
베르길리우스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이승만(李承晩)
•
안후이성(安徽省)
•
숙향전(淑香傳)
•
대운하(大運河)
•
김동리(金東里)
•
서정주(徐廷柱)
•
반고(班固)
•
메밀꽃 필 무렵
•
신영철(申瑩澈)
•
무녀도(巫女圖)
▣
이위종 (李瑋鍾)
바로가기
[1887 ~ ?] 구한국 말의 외교관, 의사(義士).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인물
:
인물 > 한국
[1887 ~ ?] 구한국 말의 외교관, 의사(義士). 일찍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재 한국 공사관 참사관을 지냈다.
1907년 고종 황제의 밀사로서
이준
,
이상설
과 함께
만국 평화 회의
가 열리는 네덜란드의 헤이그로 갔다. 일본의 방해로 참석을 거부당했으나, 때마침 만국 기자 협회의 호의로 연설할 기회를 얻게 되자 능숙한 영어로 우리 나라의 억울한 처지와 일본의 야만적 침략 행위를 세계의 여론 에다 호소하였다.
이에 일본 정부가 그들 3 의사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지만, 그는 이미 순국한 이준을 헤이그에 묻은 후
이상설
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 뒤 영국 및 러시아 등지에서 항일 운동을 계속하다가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지금의 건국 훈장 대통령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위종
(李瑋鍾)
1887
1905년
1906년
1907년
1895년
1896년
1899년
1811
이경하
(李景夏)
1853
이범진
(李範晉)
1858
이준
(李儁)
1871
이상설
(李相卨)
1851
명성 황후
(明成皇后)
1856
이범윤
(李範允)
1858
이완용
(李完用)
1868
니콜라이 2세
1869
이동녕
(李東寧)
1876
이일정
(李一貞)
1888
이용
(李鏞)
국제 중재 재판소
1896
독립 협회
(獨立協會)
1904
공진회
(共進會)
1906
서전 서숙
1907
만국 평화 회의
1907
헤이그 특사 사건
1866
병인 양요
(丙寅洋擾)
1882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1896
아관 파천
(俄館播遷)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7
한·일 신협약
•
최재형(崔在亨)
•
엄인섭(嚴仁燮)
•
동의회(同義會)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헤이그 특사의 외교 활동 - 만국평화회의보 1면에 대서특필되다 - 영상한국사 (110)
[역사 > 한국역사] (0)
을사늑약과 헤이그 특사 파견 - 영상한국사 (104)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