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기재기이(企齋記異)
•
이상(李箱)
•
대한 민국(大韓民國)
•
서원(書院)
•
나겔점(Nagel點)
•
남극(南極)
•
청산별곡(靑山別曲)
•
절(寺)
•
팔츠 계승 전쟁
•
격몽요결(擊蒙要訣)
•
날개(-)
•
연행가(燕行歌)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E.B. 타일러
•
미국(美國)
•
신흠(申欽)
•
연가 칠년명 금동 여래 입상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태평천하(太平天下)
•
국립 해양 문화재 연구소
▣
자격루 (自擊漏)
바로가기
(국보 제229호) 세종 16년(1434년)에 장영실 등이 세종의 명을 받들어 만든 일종의 자동 물시계.
문화/자연유산
:
자연과학 > 과학일반 > 장치
세종 16년(
1434년
)에
장영실
등이 세종의 명을 받들어 만든 일종의 자동 물시계.
나무로 만들었는데, 자동 시보 장치는 지렛대의 원리와 경사면을 굴러떨어지는 공의 운동을 연결한 것으로 2년이나 걸려 완성하였다.
이 자격루는 경복궁 남쪽의
보루각
에 설치되어 조선 왕조의 표준 시계로 쓰이다가 자동 장치가 고장나 고칠 수 없게 되자, 단종 3년(1455년)에 자동 시보 장치의 사용이 중지되었다. 연산군 때에는 자격루를 창경궁으로 옮겼으며, 자격루가 만들어진 지 100여 년 만인 중종 31년(1536년)에 새로운 자격루가 만들어졌다.
이 자격루는 현재
덕수궁
에 간직되어 있으며 1985년에 국보 제229호로 지정되었다.
[숨기기]
자격루
(自擊漏)
세종 16년(1434년)에
장영실
등이 만든 물시계.
경복궁 남쪽의 보루각에 설치되어 조선 왕조의 표준 시계로 쓰이다가
자동 장치가 고장나 고칠 수 없게 되자,
단종 3년(1455년)에 자동 시보 장치의 사용이 중지되었다.
연산군 때에는 자격루를 창경궁으로 옮겼으며,
중종 31년(1536년)에 새로운 자격루가 만들어졌다.
현재
덕수궁
에 간직되어 있으며
1985년에 국보 제229호로 지정되었다.
◈ 지식지도
관계
자격루
(自擊漏)
1434
국보
(國寶)
물시계
(--時計)
1433
혼천의
(渾天儀)
6진
(六鎭)
1434
갑인자
(甲寅字)
궁궐
(宮闕)
해시계
(--時計)
메디치 가
1437
앙부일귀
(仰釜日晷)
1441
측우기
(測雨器)
중구
(中區)
함길도
(咸吉道)
1434년
15세기
(15世紀)
1430년대
1430년
1431년
1432년
1433년
1435년
1436년
1437년
1438년
1439년
1424년
15C초
장영실
(蔣英實)
1389
코시모 데 메디치
1418
조선 세종
(世宗)
1454
월산 대군
(月山大君)
1863
조선 고종
(高宗)
보루각
(報漏閣)
1946
미·소 공동 위원회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덕수궁
(德壽宮)
1395
경복궁
(景福宮)
1405
창덕궁
(昌德宮)
1434
간의대
(簡儀臺)
즉조당
(卽阼堂)
중화전
(中和殿)
대한문
(大漢門)
숭례문
(崇禮門)
1484
창경궁
(昌慶宮)
1617
경희궁
(慶熙宮)
1897
함녕전
(咸寧殿)
1909
석조전
(石造殿)
•
이천(李蕆)
•
이순지(李純之)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07.03
◈
문화유산 보존처리 최근 5년 성과 집대성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센터장 박종서, 이하 ‘보존센터’)는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보존센터가 수행한 중요 문화유산의 보존처리 과정과 과학적 조사 성과를 수록한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성과자료집 Ⅲ」을 발간하였다.【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0
|
문화재청
,
자격루
,
창경궁 자격루 누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04.22
◈
(국영문 동시 배포)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창경궁 자격루(국보 제229호) 보존처리 완료
【문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센터장 직무대리 박종서)는 1년 7개월 만에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창경궁 자격루(국보 제229호)의 보존처리를 마쳤다.【문화재보존과학센터】
0
|
문화재청
,
자격루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창경궁
,
창경궁 자격루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A digital clock in Joseon Borugak Jagyeongnu
[여행 > 국내여행] (0)
조선의 디지털시계, 자격루
[여행 > 국내여행] (0)
장영실과 이천, 세종대왕시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끌다 - 영상한국사 (079)
[역사 > 한국역사] (0)
장영실과 자동 시보 물시계 자격루, 그 원리와 복원 - 영상한국사 (078)
[역사 > 한국역사] (0)
세종 시절의 과학 기술 업적 -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금속활자,출판 - 영상한국사 (075)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