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심청전(沈淸傳)
•
기재기이(企齋記異)
•
청산별곡(靑山別曲)
•
나겔점(Nagel點)
•
날개(-)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E.B. 타일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신흠(申欽)
•
논어집주(論語集註)
•
서원(書院)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공주 민란(公州民亂)
•
김억(金億)
•
김육(金堉)
•
우랄 산맥(Ural山脈)
▣
장승업 (張承業)
바로가기
[1843 ~ 1897] 조선 말기의 화가. 호는 오원(吾園)이다. 주로 나뭇가지, 산수, 인물 등을 그렸으며, 안견, 김홍도와 함께 조선 시대의 3대 화가로 일컬어진다.
인물
:
인물 > 한국
[1843 ~ 1897] 조선 말기의 화가. 호는 오원(吾園)이다.
고아로 자라 남의 집 심부름을 하면서 주인 집 아들이 그림 공부를 하는 것을 어깨 너머로 보고 배웠다. 마침내 그의 그림 솜씨는 널리 알려져 화원(畵員)이 되었고, 감찰(監察)이란 벼슬에 올랐다.
그는 평생을 독신으로 살며 그림과 술을 좋아하였다 한다. 주로 나뭇가지, 산수, 인물 등을 그렸으며,
안견
,
김홍도
와 함께 조선 시대의 3대 화가로 일컬어진다.
작품에 《홍백매십정병》 《청록산수도》 《군마도》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장승업
(張承業)
1843
1853
조석진
(趙錫晋)
1881
영선사
(領選使)
1918
서화 협회
1911년
1919년
1881년
1447년
1392년
15C초
안견
(安堅)
1745
김홍도
(金弘道)
1418
안평 대군 이용
1465
이상좌
(李上佐)
1581
이징
(李澄)
1676
정선
(鄭敾)
1696
김두량
(金斗樑)
1713
강세황
(姜世晃)
1726
신한평
(申漢枰)
1742
김응환
(金應煥)
1754
김득신
(金得臣)
1758
김석신
(金碩臣)
1758
신윤복
(申潤福)
김명국
(金明國)
변상벽
(卞相璧)
이명욱
(李明郁)
1861
안중식
1892
김은호
(金殷鎬)
1897
이상범
(李象範)
1899
노수현
(盧壽鉉)
1899
변관식
(卞寬植)
1904
이용우
(李用雨)
1392
도화서
(圖化署)
1911
서화미술회
1447
몽유도원도
1776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1796
김홍도 필 병진년 화첩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
조선(朝鮮)
•
김영(金瑛)
•
산수화(山水畵)
•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19.11.11
◈
손세기·손창근 기증 명품 서화전 3: 안복眼福을 나누다
【--】
19세기 문예계의 다양성과 새로운 미감을 보여주는 명품 서화 【미술부】
0
|
국립중앙박물관
,
민영익
,
안중식
,
오세창
,
장승업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