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정몽주 (鄭夢周)
[1337~1392] 고려 말의 충신, 학자. 호는 포은(圃隱),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정몽주 (鄭夢周) 고려 삼은의 한 사람. 고려 3은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
◈ 지식지도 관계
정몽주 (鄭夢周) 1337 의창 (義倉) 성리학 (性理學) 시조 (時調) 1392 개국공신 (開國功臣) 개성시 (開城市) 동학사 (東鶴寺) 1405년 1392년 1388년 1374년 1356년 1346년 1328 이색 (李穡) 고려 삼은 (高麗三隱) 1337 정도전 (鄭道傳) 1346 조준 (趙浚) 1353 길재 (吉再) 1373 윤상 (尹祥) 1374 조용 (趙庸) 1287 이제현 (李齊賢) 1298 이곡 (李穀) 1347 하륜 (河崙) 1349 이숭인 (李崇仁) 1351 조견 (趙狷) 1352 권근 (權近) 1354 남은 (南誾) 1369 변계량 (卞季良) 1389 김숙자 (金叔滋) 1392 조선 태조 (太祖) 1400 조선 태종 (太宗) 1431 김종직 (金宗直) 1450 정여창 (鄭汝昌) 1454 김굉필 (金宏弼) 1482 조광조 (趙光祖) 1888 문일평 (文一平) 1896 이병도 (李丙燾) 1225 정방 (政房) 1650 임강서원 단심가 (丹心歌) 포은집 (圃隱集) 경제문감 (經濟文鑑) 경제육전 (經濟六典) 고려사 (高麗史) 삼봉집 야은집 (冶隱集) 하여가 (何如歌) 1394 조선경국전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398 제1차 왕자의 난 선죽교 (善竹橋)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두문동록 杜門洞錄 근/현대 소설 김동인 (11) 정몽주 최후의 일 희곡 이명선 (5) 정포은 鄭圃隱 근/현대 소설 고한승 (3) 고려의 기품 근/현대 소설 차상찬 (2) 정몽주 선생 - 500년 전 위인 정몽주 선생 이야기 근/현대 소설 신영철 (2) 고려 충신 정포은 선생과 어머니 근/현대 소설 신영철 (1) 투옥새 投玉璽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묘향산중의 괴처녀 妙香山中의 怪處女 차상찬 (0) 화하난무 花下亂舞 김동인 (0)
정몽주 초상
[서화] 정몽주 초상
이한철(李漢喆) ()
(0)
 
◈ 최근등록순
2024.07.20
26. 평안남도 강동 동림사를 찾아서
【문화】 평양(平壤)에서 강동(江東)으로 가는 차편(車便)이 있다기에 평양역(平壤驛)으로 나가서 강동(江東)가는 기차를 탔다. 차내(車內)는 아침 일찍부터 어디론지 일하러 가는 사람들이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승호리(勝湖里)를 지나서 삼등(三登)으로 가는 도중에 평양시(平壤市)로 편입된 서부평야(西部平野)가 넓은 치마폭을 펼쳐 맞이한다. 봄 아지랑이가 아른거리는 속을 삼등역(三登驛)에 내린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