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26일 (토)
(음 3월 29일, 乙丑)
집계기준 : 2025년 4월 2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손기정(孫基禎)
•
소설(小說)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시조(時調)
•
무정(無情)
•
용부가(庸婦歌)
•
한국 문학(韓國文學)
•
도화원기(桃花源記)
•
사자소학(四字小學)
•
최화심(崔化心)
•
경상 남도(慶尙南道)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소학(小學)
•
고대 소설(古代小說)
•
김홍도(金弘道)
•
날개(-)
•
통도사(通度寺)
•
언해(諺解)
•
오디세이아(Odysseia)
▣
조홍시가 (早紅枾歌)
바로가기
조선 선조 때 노계 박인로가 지은 4수의 연시조. 지은이가 1601년(선조 34년) 초가을에 이덕형이 보낸 홍시를 받고, 죽은 부모를 생각하며 지은 시조이다.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조
조선 선조 때 노계
박인로
가 지은 4수의 연시조. 지은이가 1601년(선조 34년) 초가을에
이덕형
이 보낸
홍시
를 받고, 죽은 부모를 생각하며 지은 시조이다.
제목과 합치되는 것은 첫 수뿐이고, 2·3수는 효성을 주제로 읊은 것이며, 4수는 작가의 심경을 읊은 시조이다.
[숨기기]
조홍시가
(早紅枾歌)
조선 선조 때 노계
박인로
가 지은 4수의 연시조.
지은이가 1601년(선조 34년) 초가을에
이덕형
이 보낸 홍시를 받고,
죽은 부모를 생각하며 지은 시조이다.
◈ 지식지도
관계
조홍시가
(早紅枾歌)
1601
연시조
(連時調)
홍시
(紅枾)
감
시조
(時調)
어부가
(漁父歌)
오성과 한음
1561
박인로
(朴仁老)
1561
이덕형
(李德馨)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535
정세아
(鄭世雅)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39
이산해
(李山海)
1556
이항복
(李恒福)
1587
윤선도
(尹善道)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8
광해군
(光海君)
1580
훈민가
(訓民歌)
강호사시가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孤山遺稿)
노계집
(蘆溪集)
누항사
(陋巷詞)
도산십이곡
매화사
(梅花詞)
선상탄
(船上歎)
오륜가
(五倫歌)
오륜가
(五倫歌)
오우가
(五友歌)
태평사
(太平詞)
호아곡
(呼兒曲)
노계가
(蘆溪歌)
1619년
독락당
(獨樂堂)
1635
영남가
(嶺南歌)
1651
어부사시사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13
계축옥사
(癸丑獄事)
감나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조홍시가
早紅枾歌
시조
박인로
(26)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