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2일 (토)
(음 3월 15일, 辛亥)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명량 해전(鳴梁海戰)
•
이상(李箱)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삼국지(三國志)
•
논어집주(論語集註)
•
난중일기(亂中日記)
•
동백꽃( )
•
만분가(萬憤歌)
•
광염소나타(狂炎sonata)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최백(崔白)
•
안목(安牧)
•
경기도(京畿道)
•
서한문(書翰文)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
김상용(金尙容)
•
영산재(靈山齋)
•
이순신(李舜臣)
•
나옹(懶翁)
•
쿠샨 왕조(Kushan王朝)
▣
진대법 (賑貸法)
바로가기
고구려 시대의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 가난한 농민에게 봄철에 곡식을 꾸어 주었다가 가을에 추수한 뒤에 갚게 하는 제도로서 194년(고국천왕 16년)에 처음 실시하였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지식
:
역사 > 한국사 > 제도(행정)
고구려
시대의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 가난한 농민에게 봄철에 곡식을 꾸어 주었다가 가을에 추수한 뒤에 갚게 하는 제도로서
194년
(
고국천왕
16년)에 처음 실시하였다.
그 뒤 고려 시대의
의창
, 조선 시대의
환곡
으로 이어졌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진대법
(賑貸法)
의창
(義倉)
환곡
나·당 연합군
삼국 시대
모용씨
(慕容氏)
낙랑군
(樂浪郡)
대방군
(帶方郡)
돌궐
백제
(百濟)
부여
(夫餘)
유연
(柔然)
서안평
(西安平)
고구려
(高句麗)
194년
신라
(新羅)
2세기
190년대
190년
191년
192년
193년
195년
196년
197년
198년
199년
184년
581
수
(隋)
713
발해
(渤海)
147
고국천왕
-37
동명성왕
(東明聖王)
153
을파소
(乙巴素)
165
신대왕
(新大王)
197
산상왕
(山上王)
227
동천왕
(東川王)
300
미천왕
(美川王)
321
고국원왕
371
소수림왕
(小獸林王)
391
광개토대왕
413
장수왕
(長壽王)
53
태조왕
(太祖王)
616
연개소문
(淵蓋蘇文)
6세기말
을지문덕
(乙支文德)
612
살수 대첩
(薩水大捷)
무용총
(舞踊塚)
쌍영총
(雙楹塚)
장군총
(將軍塚)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