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5일 (화)
(음 3월 18일, 甲寅)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6·10 만세 운동
•
절(寺)
•
토끼전(----傳)
•
경복궁(景福宮)
•
경주 흥륜사지
•
날개(-)
•
불영사(佛影寺)
•
의상(義湘)
•
왕오천축국전
•
북천가(北遷歌)
•
고려 가요(高麗歌謠)
•
홍릉수목원(洪陵樹木園)
•
종로구(鍾路區)
•
가사(歌辭)
•
금오신화(金鰲新話)
•
정진사전(鄭進士傳)
•
도산 서원(陶山書院)
•
만세전(萬歲前)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최항 (崔恒)
바로가기
[1409 ~ 1474] 조선 초기의 학자, 문신. 호는 태허정(太虛亭) 또는 동량이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409 ~ 1474] 조선 초기의 학자, 문신. 호는 태허정(太虛亭) 또는 동량이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1434년(세종 16년)에 알성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부수찬이 되어
정인지
,
박팽년
등과
훈민정음
의 창제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
용비어천가
》의 간행에도 참여했으며 《
동국정운
》 《
훈민정음해례
》 등을 지었다.
1461년에는
양성지
의 《
잠서
》를 우리말로 번역했고, 왕명으로 《
경국대전
》의 편찬을 시작함으로써 조선 초기의 법률 제도를 정리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저서에 《
태허정집
》 《
관음현상기
》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최항
(崔恒)
1409
국어문법
사림파
(士林派)
악장
(樂章)
한글
1455년
1446년
1447년
1396
정인지
(鄭麟趾)
1415
양성지
(梁誠之)
1417
박팽년
(朴彭年)
1337
정도전
(鄭道傳)
1363
권우
(權遇)
1377
안지
(安止)
1387
권제
(權踶)
사육신
(死六臣)
정현조
(鄭顯祖)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2
김질
(金礩)
1427
노사신
(盧思愼)
1455
조선 세조
(世祖)
훈구파
(勳舊派)
1420
집현전
(集賢殿)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46
훈민정음해례
1447
동국정운
(東國正韻)
1447
용비어천가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고려사
(高麗史)
세조실록
(世祖實錄)
1432
팔도지리지
1463
동국지도
(東國地圖)
1481
동국여지승람
1491
대전속록
(大典續錄)
1456
단종 복위 운동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미정의)
관음현상기
(미정의)
잠서
(미정의)
태허정집
•
김구(金鉤)
•
김국광(金國光)
•
한명회(韓明澮)
•
무경칠서주해
•
조선 성종(成宗)
•
정대업(定大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동국정운
東國正韻
어문/학습/예술
신숙주, 최항, 성삼문, 박팽년, 이개, 강희안
(999)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