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최현배 (崔鉉培)
[1894~1970] 한글 학자. 호는 외솔이다.
최현배 (崔鉉培) [1894~1970] 한글 학자. 호는 외솔이다. 경남 울산에서 태어나 1910년에 주시경조선어 강습원에서 한글과 문법을 배웠다. 교토 제국 대학 철학과를 졸업한 후 그 대학원을 다녔다. 1929년에 조선어 사전 편찬 위원회 준비 위원이 되고,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1942년에 이른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3년간 옥살이를 하였다. 광복 후 문교부 편수국장, 한글 학회 이사장, 연세 대학교 문과 대학장과 부총장 등을 지냈으며, 1955년에 연세 대학교로부터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국민장을 받았으며, 세상을 떠난 뒤에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저서 《우리 말본》 《한글갈》 《글자의 혁명》 등
◈ 지식지도 관계
최현배 (崔鉉培) 1894 한글 1933 한글 맞춤법 통일안 문자 (文字) 원자로 (原子爐) 표음 문자 (表音文字) 건국훈장 1942년 1933년 1929년 20세기 (20世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07년 1911년 1940년 1941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 1928년 1876 주시경 (周時經) 1418 조선 세종 (世宗) 1864 장지연 (張志淵) 1866 서재필 (徐載弼) 1903 이은상 (李殷相) 1904 이상백 (李相佰) 조선어 강습원 1921 조선어 학회 1934 진단 학회 1949 한글 학회 (----學會) 1896 독립 협회 (獨立協會) 1907 국문 연구소 1933 우리 말본 1940 한글갈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942 조선어 학회 사건 (미정의) 글자의혁명
 
◈ 최근등록순
2019.10.07
【문화】 울산시는 9일부터 12일까지 중구 원도심 일원(문화의 거리, 동헌, 젊음의 거리)과 외솔기념관에서 ‘2019 한글문화예술제’를 개최한다. 【문화예술과 - 최선미 (229-3722)】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