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5일 (화)
(음 3월 18일, 甲寅)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절(寺)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경복궁(景福宮)
•
6·10 만세 운동
•
월명사(月明師)
•
정진사전(鄭進士傳)
•
토끼전(----傳)
•
날개(-)
•
경주 흥륜사지
•
고공가(雇工歌)
•
이불란사(伊佛蘭寺)
•
무정(無情)
•
사자소학(四字小學)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이상(李箱)
•
홍릉수목원(洪陵樹木園)
•
한양도성(漢陽都城)
•
김득연(金得硏)
•
조용조(租庸調)
•
도산 서원(陶山書院)
▣
파 (-)
바로가기
백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채소. 잎은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었고 끝이 뾰족하다. 초여름에 속이 빈 꽃줄기가 나와 흰꽃이 공 모양으로 모여 핀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자연계
:
자연 > 식물
백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채소. 잎은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었고 끝이 뾰족하다. 초여름에 속이 빈 꽃줄기가 나와 흰꽃이 공 모양으로 모여 핀다.
칼슘, 염분, 비타민 등이 많이 들어 있고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이나 약으로 쓰인다.
종류에는 잎이 굵고 긴 줄기파와 흰 부분이 짧고 푸른 잎을 이용하는 잎파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는 품종에는 재래종인 서울흰파와 석창, 천주 등이 있다.
중국 서부 지방이 원산지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파
(-)
양념
깨소금
설탕
(雪糖)
식초
(食醋)
조미료
(調味料)
고추
마늘
생강
(生薑)
•
잎줄기 채소
•
향신료(香辛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