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8일 (금)
(음 3월 21일, 丁巳 )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절(寺)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설문 해자(說文解字)
•
박태원(朴泰遠)
•
6전(六典)
•
조용조(租庸調)
•
윤동주(尹東柱)
•
무정(無情)
•
강천사(剛泉寺)
•
정진사전(鄭進士傳)
•
계룡산(鷄龍山)
•
기원전 330년대
•
최사추(崔思諏)
•
전우치전(田禹治傳)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정인보(鄭寅普)
•
방정환(方定煥)
•
시경(詩經)
•
장보고(張保皐)
▣
허위 (許蔿)
바로가기
[1855 ~ 1908] 독립 운동가. 1907년에는 이인영 등과 원주에서 전국 의병 대연합 부대를 조직하여 진공 작전을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체포되어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중장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855 ~ 1908] 독립 운동가. 아호는 왕산(旺山)이다.
을미사변 이후 의병을 일으켜 성주, 금산 등지에서 활약하다가 고종 황제의 종용으로 자진 해산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다시 경기 지방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1907년
에는
이인영
등과 원주에서 전국 의병 대연합 부대를 조직하여 진공 작전을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체포되어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중장을 받았다.
• 1908년 일제에 체포되어 사형을 언도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됐다. 선생의 옥사 이후 구미 임은동의 허씨 일족은 일제의 핍박을 피해 만주로 이주했고 현재 국내를 비롯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선생의 질녀는 시인 이육사의 부인이다.
• 선생의 순국 기념비가
달성공원
에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허위
(許蔿)
1855
건국훈장
달성 공원
1907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8년
1909년
1827
조병세
(趙秉世)
1833
최익현
(崔益鉉)
1855
강우규
(姜宇奎)
1856
신돌석
(申乭石)
1858
민긍호
(閔肯鎬)
1858
이준
(李儁)
1861
민영환
(閔泳煥)
1861
손병희
(孫秉熙)
1864
이승훈
(李昇薰)
1865
러디어드 키플링
1866
서재필
(徐載弼)
1868
이시영
(李始榮)
1868
홍범도
(洪範圖)
1875
이승만
(李承晩)
1877
이갑
(李甲)
1878
안창호
(安昌浩)
1878
이은찬
(李殷瓚)
1879
안중근
(安重根)
1879
한용운
(韓龍雲)
1881
김규식
(金奎植)
1882
조만식
(曺晩植)
1885
여운형
(呂運亨)
1887
조소앙
(趙素昻)
1889
김좌진
(金佐鎭)
1907
조선 순종
(純宗)
1908
윤봉길
(尹奉吉)
1917
박정희
(朴正熙)
1919
최규하
(崔圭夏)
1931
전두환
(全斗煥)
13도 창의군
1904
일진회
(一進會)
1905
대한 매일 신보
1906
신민회
(新民會)
1907
오산학교
(五山學校)
1906
귀의 성
(鬼--聲)
1910
자유종
(自由鐘)
국채 보상 운동
1907
만국 평화 회의
1907
한·일 신협약
1907
헤이그 특사 사건
(중복)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중복)
이인영
•
박상진(朴尙鎭)
•
을미의병(乙未義兵)
•
정미의병(丁未義兵)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2019.09.21
◈
독립투사 후손에 폭언 퍼부은 민주당 구미시장은 변명 그만두고 진솔하게 사죄하라[김병래 청년부대변인 논평]
【정치】
어제(20일) 민주당 소속인 장세용 경북 구미시장이 왕산 허위 선생의 친손자인 허경성 옹 내외에게 반말로 고함을 친 것으로 알려졌다. 왕산 허위 선생은 13도 창의군을 이끌다 일제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 대구 경북지역의 대표적인 독립투사다.
0
|
자유한국당
,
왕산 허위
,
구미 물빛공원
,
장세용
,
허경성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고종 퇴위와 대한제국군 해산, 정미의병이 일어나다 - 영상한국사 (126)
[역사 > 한국역사] (0)
대한광복회 박상진, 1세대 독립투사들의 영향을 받다 - 영상한국사 (28)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