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심청전(沈淸傳)
•
나겔점(Nagel點)
•
청산별곡(靑山別曲)
•
기재기이(企齋記異)
•
무정(無情)
•
날개(-)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E.B. 타일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신흠(申欽)
•
서원(書院)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논어집주(論語集註)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공주 민란(公州民亂)
•
김억(金億)
•
최서해(崔曙海)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허종 (許琮)
바로가기
[1434 ~ 1494]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상우당(尙友堂)이고,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434 ~ 1494]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상우당(尙友堂)이고,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1457년 문과에 급제, 의영고 직장·통례문 봉례랑 등을 거쳐 선전관을 지냈다.
1465년에 함길도 절도사 가 되어
1467년
에 이시애가 반란을 일으키자 난을 가라앉혀 1등 공신이 되었다. (
이시애의 난
)
1477년에 예조 판서가 되었다가 건주위의 여진족이 침공하자 평안도 도순찰사가 되어 이를 격퇴하고 우참찬에 이어 좌참찬에 올랐다.
그는 문무를 갖춘 신하로 이름이 높았으며, 여러 차례 북쪽 국경지역에 파견되어 여진족의 침입을 막았다.
1488년에는
서거정
·
노사신
등과 《
향약집성방
》을 한글로 옮겨 적었다.
성종 때
청백리
에 뽑혔다.
[숨기기]
허종
(許琮)
[1434 ~ 1494] 조선 초기의 문신.
1457년 문과에 급제
1465년에 함길도 절도사가 되어
1467년에
이시애
가 반란을 일으키자
난을 가라앉혀 1등 공신이 되었다. (
이시애의 난
)
그는 문무를 갖춘 신하로 이름이 높았으며,
여러 차례 북쪽 국경지역에 파견되어 여진족의 침입을 막았다.
1488년에는
서거정
·
노사신
등과
《
향약집성방
》을 한글로 옮겨 적었다.
성종 때
청백리
에 뽑혔다.
◈ 지식지도
관계
허종
(許琮)
1434
청백리
(淸白吏)
1467년
15세기
(15世紀)
1460년대
1460년
1462년
1463년
1464년
1466년
1468년
1469년
1433년
1417
이시애
(李施愛)
1420
서거정
(徐居正)
1427
노사신
(盧思愼)
1353
길재
(吉再)
1360
맹사성
(孟思誠)
1415
한명회
(韓明澮)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31
김종직
(金宗直)
노중례
(盧仲禮)
유효통
(兪孝通)
최만리
(崔萬理)
김순
(金洵)
1441
남이
(南怡)
1467
이현보
(李賢輔)
1486
김정
(金淨)
1491
이언적
(李彦迪)
1497
백인걸
(白仁傑)
1499
이준경
(李浚慶)
1501
이황
(李滉)
1516
심수경
(沈守慶)
1539
최경창
(崔慶昌)
1542
류성룡
(柳成籠)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56
이항복
(李恒福)
1570
김상헌
(金尙憲)
1581
이시백
(李時白)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433
향약집성방
동문선
(東文選)
동인시화
(東人詩話)
필원잡기
(筆苑雜記)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76
삼국사절요
1477
태평한화골계전
1477
의방유취
1484
동국통감
(東國通鑑)
1613
동의보감
(東醫寶鑑)
1467
이시애의 난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
조선 성종(成宗)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백세 부인 허정승 매씨
百歲夫人 許政承 姉氏
근/현대 수필
차상찬
(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