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7일 (월)
(음 3월 10일, 丙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기재기이(企齋記異)
•
이상(李箱)
•
누정(樓亭)
•
정진사전(鄭進士傳)
•
스트라빈스키
•
동명왕편(東明王篇)
•
만언사(萬言詞)
•
변려문(騈儷文)
•
노자영(盧子泳)
•
신곡(La Divina Commedia)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서한문(書翰文)
•
김유정(金裕貞)
•
진서(晉書)
•
연가 칠년명 금동 여래 입상
•
대한 민국(大韓民國)
•
태평천하(太平天下)
•
여수시(麗水市)
•
757년
•
단테 알리기에리
▣
홍문관 (弘文館)
바로가기
조선 시대의 3사(司)의 하나. 옥당(玉堂), 또는 옥서(玉署)라고도 한다.
기관/단체
:
단체 > 한국사 > 관청
조선 시대의 3사(司)의 하나. 옥당(玉堂), 또는 옥서(玉署)라고도 한다.
세조 때
집현전
을 없애고 새로 둔 기관으로 궁중의 경서와 역사 서적을 관리하고 임금의 학문적인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 보았다.
홍문관의 관원은 임금을 대할 기회가 많았고, 때로는 임금의 스승 구실을 했기 때문에 큰 영예로 여겼다.
또한, 임금의 권력이나 신하들의 세력을 견제하는 충고 기관의 구실도 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홍문관
(弘文館)
1387
하위지
(河緯地)
1396
정인지
(鄭麟趾)
1402
정창손
(鄭昌孫)
1406
유성원
(柳誠源)
1406
유응부
(兪應孚)
1409
최항
(崔恒)
1415
양성지
(梁誠之)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0
서거정
(徐居正)
1427
노사신
(盧思愼)
사간원
(司諫院)
사헌부
(司憲府)
1420
집현전
(集賢殿)
1456
단종 복위 운동
•
조선 성종(成宗)
•
동·서 분당
•
1477년
•
1463년
•
장서각(藏書閣)
•
승정원(承政院)
◈ 최근등록순
고재완의 지식창고
>
문화재·역사·전
2024.10.04
◈
조선 한성부 내 관청 위치(3)
【문화】
조선 한성부 내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보고 있습니다.
2
|
관상감
,
사간원
,
사헌부
,
종부시
,
한성부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홍국영을 통해 본 승정원의 힘과 권한 - 영상한국사 (036)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