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난중일기(亂中日記)
•
절(寺)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이고(李翶)
•
유배 가사(流配歌辭)
•
남부 아시아
•
소설(小說)
•
북천가(北遷歌)
•
번역소학(飜譯小學)
•
관동별곡(關東別曲)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장진주사(將進酒辭)
•
정지용(鄭芝溶)
•
덕수궁(德壽宮)
•
오륜가(五倫歌)
•
한시(漢詩)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통도사(通度寺)
•
독도(獨島)
▣
홍병기 (洪秉箕)
바로가기
[1868 ~ 1949] 독립 운동가. 호는 인암(仁菴)이며,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다.
인물
:
인물 > 한국
[1868 ~ 1949] 독립 운동가. 호는 인암(仁菴)이며,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에 가담하였으며, 그 뒤 천도교 장로로 있다가
3·1 운동
때에는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체포되어 2년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감옥에서 풀려난 뒤에는 만주로 가서 1926년에 지린성에서 고려 혁명당을 조직하여 그 고문으로 있었으나, 붙잡혀 신의주 형무소에서 다시 2년 동안 감옥살이를 하였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을 받았다.
[숨기기]
홍병기
(洪秉箕)
[1868 ~ 1949] 독립 운동가. 호는 인암(仁菴)이며, 경기도 여주생.
일찍이 동학에 가담하였으며, 그 뒤 천도교 장로
3·1 운동
때에는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체포되어 2년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감옥에서 풀려난 뒤에는 만주로 가서
1926년
에 지린성에서
고려 혁명당
을 조직하여
그 고문으로 있었으나, 붙잡혀 신의주 형무소에서 다시 2년 동안 감옥살이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을 받았다.
◈ 지식지도
관계
홍병기
(洪秉箕)
1868
민족 대표 48인
1904
한·일 의정서
1918
14개조 평화 원칙
1919
독립 선언서
1926년
20세기
(20世紀)
1920년대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7년
1928년
1929년
민족 대표 33인
1856
우드로 윌슨
1856
이종훈
(李鍾勳)
1858
이종일
(李鍾一)
1861
권동진
(權東鎭)
1861
손병희
(孫秉熙)
1862
양한묵
(梁漢默)
1863
나용환
(羅龍煥)
1864
오세창
(吳世昌)
1865
백용성
(白龍城)
1865
임예환
(林禮煥)
1865
홍기조
(洪基兆)
1866
박준승
(朴準承)
1868
권병덕
(權秉悳)
김창준
(金昌俊)
1869
길선주
(吉善宙)
1869
양전백
(梁甸伯)
1869
이필주
(李弼柱)
1871
나인협
(羅仁協)
1873
이명룡
(李明籠)
1873
최성모
(崔聖謨)
1875
신석구
(申錫九)
1875
정춘수
(鄭春洙)
1876
김병조
(金秉祚)
1877
김완규
(金完圭)
1878
유여대
(劉如大)
1879
한용운
(韓龍雲)
1880
오화영
(吳華英)
1885
박동완
(朴東完)
1889
박희도
(朴熙道)
1889
이갑성
(李甲成)
1890
최남선
(崔南善)
1900
주요한
(朱耀翰)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26
6·10 만세 운동
(미정의)
고려혁명당
(중복)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
진보회(進步會)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