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2월 6일 (목)
(음 1월 9일, 丙午)
집계기준 : 2025년 2월 3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고대 수필(古代隨筆)
•
김성일(金誠一)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춘향전(春香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홍계월전(洪桂月傳)
•
토끼전(----傳)
•
한국 문학(韓國文學)
•
귀토설화(龜兔說話)
•
대한민국 해병대
•
현대문학(現代文學)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가사(歌辭)
•
종로구(鍾路區)
•
이상(李箱)
•
조웅전(趙雄傳)
•
임경업전(林慶業傳)
•
알프스 조산 운동
•
보성강 발전소
•
조침문(弔針文)
▣
봉암사 (鳳巖寺)
경상 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에 있는 절로, 대한 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부속 사찰이다. 선문 구산의 하나로 879년(헌강왕 5)에 지증이 창건하였으며, 희양산파의 본거지가 되었다.
경상 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에 있는 절로, 대한 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
의 부속 사찰이다. 선문 구산의 하나로 879년(헌강왕 5)에
지증
이 창건하였으며,
희양산파
의 본거지가 되었다.
봉암사의 사적을 기록한 것을 보면 879년
지증대사
가 창건하였고, 881년 조정으로부터 봉암사라는 사액(임금이 사원 등에 이름을 지어 이를 새긴 액자를 내리는 것)이 내려졌다고 한다.
주요 문화제
(보물 제137호)
봉암사 지증 대사 적조탑(鳳巖寺知證大師寂照塔)
(보물 제138호)
봉암사 지증 대사 적조탑비(鳳巖寺知證大師寂照塔碑)
(보물 제169호)
봉암사 삼층 석탑(鳳巖寺三層石塔)
(보물 제171호)
봉암사 정진 대사 원오탑(鳳巖寺靜眞大師圓梧塔)
(보물 제172호)
봉암사 정진 대사 원오탑비(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
[숨기기]
봉암사
(鳳巖寺)
경상 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
에 있는 절
대한 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
의 부속 사찰
선문 구산의 하나로 879년(헌강왕 5)에 지증이 창건
희양산파의 본거지가 되었다.
879년
지증 대사
가 창건하였고,
881년 조정으로부터 봉암사라는 사액
◈ 지식지도
비교
봉암사
(鳳巖寺)
879
절
(寺)
희양산문
5교 9산
불교
(佛敎)
화엄 십찰
(華嚴十刹)
31 본산
삼보사찰
(三寶寺刹)
문경시
(聞慶市)
직지사
(直指寺)
희양산
(曦陽山)
금산사
(金山寺)
내장사
(內藏寺)
마곡사
(麻谷寺)
백양사
(白羊寺)
범어사
(梵魚寺)
법주사
(法住寺)
부석사
(浮石寺)
불국사
(佛國寺)
석왕사
(釋王寺)
선운사
(禪雲寺)
송광사
(松廣寺)
수덕사
(修德寺)
쌍계사
(雙磎寺)
연곡사
(鷰谷寺)
조계사
(曹溪寺)
통도사
(通度寺)
화엄사
(華嚴寺)
선암사
(仙巖寺)
기림사
(祗林寺)
쌍봉사
(雙峰寺)
이불란사
초문사
(肖門寺)
802
해인사
(海印寺)
681
고운사
(孤雲寺)
672
봉정사
(鳳停寺)
643
월정사
(月精寺)
426
대흥사
(大興寺)
375년
824
지증
(智證)
506
이차돈
(異次頓)
887
강천사
(剛泉寺)
전등사
(傳燈寺)
수종사
(水鍾寺)
삼화사
(三和寺)
봉은사
(奉恩寺)
854
용주사
(龍珠寺)
봉암사 삼층 석탑
봉암사 정진 대사 원오탑
봉암사 정진 대사 원오탑비
봉암사 지증 대사 적조탑
봉암사 지증 대사 적조탑비
969
봉선사
(奉先寺)
경주 흥륜사지
법흥사
(法興寺)
건봉사
(乾鳳寺)
운주사
(雲住寺)
751
석굴암 석굴
•
노수신(盧守愼)
•
기화(己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