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이상(李箱)
•
5교 9산(五敎九山)
•
시경(詩經)
•
정극인(丁克仁)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가사(歌辭)
•
채만식(蔡萬植)
•
정진사전(鄭進士傳)
•
아카바(al-Aqabah)
•
태평천하(太平天下)
•
염상섭(廉想涉)
•
오감도(烏瞰圖)
•
무정(無情)
•
어부가(漁父歌)
•
날개(-)
•
오륜가(五倫歌)
•
현진건(玄鎭健)
•
한양도성(漢陽都城)
•
옥루몽(玉樓夢)
▣
경술국적 (庚戌國賊)
바로가기
경술국적(庚戌國賊)은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 협조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시종원경 윤덕영, 궁내부대신 민병석, 탁지부대신 고영희, 내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 여덟 명을 가리킨다.
인물
:
경술국적(庚戌國賊)은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경술국치조약(한일합병조약)
체결에 찬성, 협조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 시종원경
윤덕영
, 궁내부대신
민병석
, 탁지부대신
고영희
, 내부대신
박제순
,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
여덟 명을 가리킨다.
[숨기기]
경술국적
(庚戌國賊)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경술국치조약(한일합병조약)
체결에
찬성, 협조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 시종원경
윤덕영
,
궁내부대신
민병석
, 탁지부대신
고영희
, 내부대신
박제순
,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
여덟 명을 가리킨다.
◈ 지식지도
관계
경술국적
(庚戌國賊)
1910
1881
신사 유람단
1906년
1894년
1895년
1849
고영희
(高永喜)
1858
민병석
(閔丙奭)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59
조민희
(趙民熙)
1860
조중응
(趙重應)
1864
이병무
(李秉武)
1873
윤덕영
(尹德榮)
1905
을사 5적
(乙巳五賊)
1907
정미7적
(丁未七賊)
1821
이호준
(李鎬俊)
1832
김기수
(金綺秀)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3
고영철
(高永喆)
1854
이윤용
(李允用)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송병준
(宋秉畯)
1859
위안 스카이
([袁世凱])
1859
이재곤
(李載崑)
1861
임선준
(任善準)
1863
나철
(羅喆)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76
전덕기
(全德基)
1877
의친왕 이강
1881
이항구
(李恒九)
1913
민복기
(閔復基)
1906
을사오적 암살단
이왕직
(李王職)
1935
조선공로자명감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1896
아관 파천
(俄館播遷)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7
한·일 신협약
1907
헤이그 특사 사건
1910
경술국치
(庚戌國恥)
(미정의)
경술국치조약
◈ 최근등록순
고재완의 지식창고
>
문화재·역사·전
2019.08.01
◈
을사 5적(賊),정미 7적,경술 9적의 동일인은?
【--】
1910년 8월부터 1945년 8월 해방되기까지를 일제 강점기라 부른다. 강제로 점령당했다는 뜻으로 대한 제국은 결코 원하지 않았는데 일본 제국이 무력을 동원한 불평등조약으로 합쳤으므로 불법이며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한일병탄(韓日倂呑)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5
|
을사 5적
,
정미7적
,
경술국적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