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1544년
조선 중종 39년, 인종 즉위년, 갑진년(甲辰年)
◈ 지식지도 관계
1544년 예수회 인클로저 종교 개혁 (宗敎改革) 지동설 (地動說) 현량과 (賢良科) 16세기 (16世紀) 1540년대 1540년 1541년 1542년 1543년 1545년 1546년 1547년 1548년 1549년 근세 (近世) 수르 왕조 역사 시대 (歷史時代) 1500년대 1510년대 1520년대 1530년대 1550년대 1560년대 1570년대 1580년대 1590년대 1550년 1539년 1473 코페르니쿠스 1483 마르틴 루터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509 장 칼뱅 1530 이반 4세 (Ivan四世)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45 트리엔트 공의회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549 이홍윤·배광의 역모사건 1543 소수 서원 (紹修書院) (미정의) 사량진왜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유청량산록 遊淸凉山錄 고전 수필 주세붕 (4)
 
◈ 최근등록순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 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기 떄에 주세붕이 지은 전 7장으로 된 경기체가로 모두 7장으로 되어 있으며 《무릉잡고(武陵雜稿)》에실려 있다. 1541년부터 1544년까지 주세붕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죽계지>>와 <무릉잡고>> 별집 권8에 수록되어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