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2일 (토)
(음 3월 15일, 辛亥)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명량 해전(鳴梁海戰)
•
이상(李箱)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삼국지(三國志)
•
난중일기(亂中日記)
•
논어집주(論語集註)
•
소학(小學)
•
만분가(萬憤歌)
•
광염소나타(狂炎sonata)
•
동백꽃( )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안목(安牧)
•
최백(崔白)
•
경기도(京畿道)
•
서한문(書翰文)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
나옹(懶翁)
•
쿠샨 왕조(Kushan王朝)
•
유진오(兪鎭午)
•
영산재(靈山齋)
▣
대한 독립 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바로가기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일명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 또는 대한독립선언이라고도 불리며 3·1 운동의 전초가 된 독립선언서 발표 사건이다. 선언문은 조소앙(趙素昻)이 작성하였다.
사건
: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일명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 또는 대한독립선언이라고도 불리며
3·1 운동
의 전초가 된 독립선언서 발표 사건이다. 선언문은
조소앙(趙素昻)
이 작성하였다.
1919년 중국 길림 등지에서 활동하던
대한독립의군부(大韓獨立義軍府)
의
조소앙(趙素昻, 1887~1959)
이 작성하였다. 선언서 자체에 ‘단군기원 4252년 2월’이라고 적혀 있다. 한때 이를 음력으로 잘못 보는 등 몇 가지 착오가 겹치면서 1918년인 무오년 말에 발표한 것으로 잘못 추정하여 ‘무오독립선언서’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작성 일자는 선언서 말미에 적힌 대로 1919년 2월 무렵이며, 실제로 발표⋅배포된 것은 1919년 3월 3⋅1 운동 직후로 알려져 있다.
선언서에 이 선언에 참여한 주체로 모두 39명의 이름이 올라와 있으며, 이들은 1910년대 국외 민족 운동을 주도하던 저명 운동가들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대한 독립 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1919
1904
한·일 의정서
1918
14개조 평화 원칙
1919
독립 선언서
3·1절
(三一節)
항일 운동
1919년
1928년
1887
조소앙
(趙素昻)
1856
우드로 윌슨
1861
손병희
(孫秉熙)
1868
이시영
(李始榮)
1876
김구
(金九)
1879
한용운
(韓龍雲)
1880
신규식
(申圭植)
1890
최남선
(崔南善)
1904
조시원
(趙時元)
1919
대한 독립 의군부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930
한국 독립당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19
강서 학살 사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대한 독립 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공공기록물
조소앙(趙素昻)
(93)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20.01.31
◈
대한독립선언 선포 101주년 기념식 개최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선언으로 3·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기폭제가 된‘대한독립선언 선포 101주년 기념식’이 오는 2월 1일(토) 오전 11시, 국회의원회관(대회의실)에서 국회의원 조승래 및 (사)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회장 조형래)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1)】
0
|
국가보훈처
,
조소앙
,
대한 독립 선언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