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6일 (수)
(음 3월 19일, 乙卯)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북천가(北遷歌)
•
염상섭(廉想涉)
•
금오신화(金鰲新話)
•
토끼전(----傳)
•
불영사(佛影寺)
•
의상(義湘)
•
6·10 만세 운동
•
경복궁(景福宮)
•
춘향전(春香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수궁가(水宮歌)
•
구운몽(九雲夢)
•
종로구(鍾路區)
•
시조(時調)
•
난중일기(亂中日記)
•
만세전(萬歲前)
•
가사(歌辭)
•
이매창(李梅窓)
▣
동의회 (同義會)
바로가기
연해주에서 결성된 우리나라의 항일의병조직이다.
기관/단체
:
연해주에서 결성된 우리나라의 항일의병조직이다.
1907년 겨울
안중근
,
김기룡
,
엄인섭
등이 의형제를 맺은 뒤 항일의병을 일으킬 목적으로 연해주 각지의 동포사회를 순방하며 뜻있는 청년 87명을 결집하고 총기와 자금을 모았다.
1908년
4월 이른바 '87형제'들이 연추의
최재형
집에 총집결하여 동의회를 조직했다. 이때 선출된 동의회 임원은 총장에
최재형
, 부총장에
이범윤
, 회장에
이위종
, 부회장에
엄인섭
, 서기에
백규삼
이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동의회
(同義會)
1907
건국 공로 훈장
한국의 독립운동
일제 밀정
1909
대종교
(大倧敎)
간도
(間島)
블라디보스토크
1908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9년
1910년
1856
이범윤
(李範允)
1858
최재형
(崔在亨)
1875
엄인섭
(嚴仁燮)
1879
안중근
(安重根)
1887
이위종
(李瑋鍾)
1811
이경하
(李景夏)
1835
서태후
(西太后)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3
이범진
(李範晉)
1858
이준
(李儁)
1862
이인직
(李人稙)
1868
홍범도
(洪範圖)
1871
광서제
(光緖帝)
1871
이상설
(李相卨)
1877
장인환
(張仁煥)
1878
안창호
(安昌浩)
1880
신채호
(申采浩)
1883
프란츠 카프카
1884
전명운
(田明雲)
1890
최남선
(崔南善)
1908
선통제
(宣統帝)
1908
대성 학교
(大成學校)
1908
소년
(少年)
1908
원각사
(圓覺社)
1925
신민부
(新民府)
1908
은세계
(銀世界)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7
만국 평화 회의
1907
헤이그 특사 사건
1909
하얼빈 의거
(미정의)
김기룡
(미정의)
백규삼
•
우수리스크(Ussuriysk)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최재형과 이범윤, 동의회를 결성해 게릴라전을 시작하다 - 영상한국사 (132)
[역사 > 한국역사] (0)
러시아 항일의병 ‘동의회’의 국내진공작전 - 영상한국사 (131)
[역사 > 한국역사] (0)
안중근, 15가지 죄목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다 - 영상한국사 (136)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