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30일 (수)
(음 4월 3일, 己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정선필 금강전도
•
박씨전(朴氏傳)
•
날개(-)
•
장진주사(將進酒辭)
•
한시(漢詩)
•
유배 가사(流配歌辭)
•
이태준(李泰俊)
•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
화왕계(花王戒)
•
얄타 회담(Yalta會談)
•
전우치전(田禹治傳)
•
채만식(蔡萬植)
•
윤동주(尹東柱)
•
화사(花史)
•
만세전(萬歲前)
•
도화원기(桃花源記)
•
모어염(Mohr鹽)
•
남부 아시아
•
부여군(扶餘郡)
▣
이휘일 (李徽逸)
바로가기
[1619 ~ 1672] 효종․현종 때의 학자이다. <효종실록>과 <목재집(木齋集)>의 묘지명에 의하면, 자는 익문(翼文)이고 호는 존재(存齋)이며 본관은 재령으로 영해 사람이다.
인물
:
[1619 ~ 1672] 효종․현종 때의 학자이다. 《효종실록》과 《목재집(木齋集)》의 묘지명에 의하면, 자는 익문(翼文)이고 호는 존재(存齋)이며 본관은 재령으로 영해 사람이다.
13살부터 외할아버지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
에게서 맹자 수심양성(收心養性)의 뜻을 배우고 성리학에 몰두했다. 경(敬)이 마음을 바로잡는 존심지법(存心之法)이라고 하여 당호를 존재(存齋)라고 했으며, ‘홍범연의집설(洪範衍義集說)’, ‘일원소장도(一元消長圖)’ 등을 지었고, 주자가례의 상제(喪祭)에 대하여 자세히 연구했다.
35살(1653, 효종4)에 영해부사 최혜길(崔惠吉)이 학행으로 천거하여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43살에 저곡(楮谷)에 명서(冥棲)라고 이름붙인 집을 지어 제자들을 가르쳤고, 50살에 모친상을 당했으며, 홀로 된 아버지를 극진히 모셨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휘일
(李徽逸)
1619
1598
정부인 안동장씨
1590
이시명
(李時明)
1627
이현일
(李玄逸)
1591
남인
(南人)
성리학
(性理學)
영남 학파
이기호발설
1564
장흥효
(張興孝)
1501
이황
(李滉)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77
김령
(金--)
1586
조경
(趙絅)
1670
음식디미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전가팔곡
田家八曲
시조
이휘일(李徽逸)
(156)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