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통도사(通度寺)
•
절(寺)
•
북천가(北遷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난중일기(亂中日記)
•
1292년
•
독도(獨島)
•
금강산(金剛山)
•
두시 언해(杜詩諺解)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장진주사(將進酒辭)
•
관동별곡(關東別曲)
•
덕수궁(德壽宮)
•
옥소전(玉簫傳)
•
이주홍(李周洪)
•
어린이(-)
•
엔디미온(Endymion)
•
향가(鄕歌)
▣
정내교 (鄭來僑)
바로가기
[1681 ~ 1759] 조선 후기의 여항(閭巷) 시인이다. 자는 윤경(潤卿), 호는 완암(浣巖), 현와(玄窩).
인물
:
[1681 ~ 1759] 조선 후기의 여항(閭巷) 시인이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윤경(潤卿), 호는 완암(浣巖), 현와(玄窩).
출신은 비록 한미한 사인(士人)이었으나 시문에 특히 뛰어나 당대 사대부들의 추중(推重)을 받았다.
1705년
(숙종 31) 역관으로 통신사의 일원이 되어 일본에 갔을 때 독특한 시문의 재능을 드러내 더욱 명성을 얻었다. 그의 시문은
홍세태(洪世泰)
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서 시와 문장이 하나같이 천기(天機)에서 나온 것과 같은 품격을 지녔다는 평을 들었다.
저서로 『완암집』 2책 4권이 전한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청구영언》의 서문을 썼으며, 동생 정민교도 시인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정내교
(鄭來僑)
1681
1697
정민교
(鄭敏僑)
1653
홍세태
(洪世泰)
중인
(中人)
역관
(譯官)
위항문학
천기론
(天機論)
1705년
18세기
(18世紀)
1700년대
1700년
1701년
1702년
1703년
1704년
1706년
1707년
1708년
1709년
1682년
1545
유희경
(劉希慶)
1628
유찬홍
(庾纘洪)
1635
윤지완
(尹趾完)
1646
최석정
(崔錫鼎)
1651
김창협
(金昌協)
1653
김창흡
(金昌翕)
1653
이규명
(李奎明)
1664
김부현
(金富賢)
1668
김정우
(金鼎禹)
1674
이광좌
(李光佐)
임준원
(林俊元)
최승태
(崔承太)
18c초
최대립
(崔大立)
1411
승문원
(承文院)
사역원
(司譯院)
낙사시사
제술관
(製述官)
1682
임술사행
1786
송석원시사
1876
육교시사
유하집
(柳下集)
1712
해동유주
•
풍요속선(風謠續選)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농가탄
農家歎
정래교(鄭來僑)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