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동북항일연군· 팔로군· 조선의용군 등 중국 공산당 휘하의 조직 등 만주에 존재하던 기타 항일 조직을 토벌하기 위해 1938년 조선인 중심으로 조직하여 1939년부터 본격적인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존속한 800~900여 명 규모의 대대급 부대였다.
간도 특설대는 당시, 간도(間島)에서 중국공산당 휘하의 동북항일연군 등의 반일-반만주국 투쟁에 의해 곤경에 빠진 만주국-일본 당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만주국(滿洲國)의 참의원을 지낸 이범익이 '조선 독립군은 조선인이 다스려야 한다'며 설립하여 대대장 등 몇몇 직위를 제외하고 조선인으로 채워졌다. 명칭도 이에 유래하였고, 일본군이 아닌 만주국군에 소속되었다.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등 다수의 항일조직은 군대, 관헌 등의 단속과 집단주거 마을건설에 의해 주민과 격리된채 은신하면서 게릴라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맞서 간도 특설대는 게릴라전에 특화된 부대로 육성되었다. 간도특설대는 1939년에서 1942년까지는 만주국 내에서 항일운동을 하는 저우바오중 여단장이 지휘하던 동북항일연군(1940년부터 1941년 사이에 동북항일연군,1942년 소련적군제88독립보병여단개편)과 전투를 수행하였다. 1944년 1월 15일 러허성(지금의 북경시)으로 옮겨갔다. 1944년 가을부터 1945년 1월까지는 러허성밀원현 석갑진일대에서, 1945년 1월부터 특설부대가 해산되기까지는 하북성 난남현 팔로군에 대한 토벌을 했다
주요 토벌 대상은 한족과 조선인 그리고 중국공산당의 일원인 양징위
저우바오중이 지휘자로 있는
동북항일연군 김두봉 김무정이 이끄는
조선의용군 중국공산 혁명군
팔로군이었다.
150여명의 조선인이 간도특설대의 장교로 복무를 했다. 이중 알려진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백선엽 간도특설대 43년 2월~광복(45.1월 원대 복귀라는 기사있음. 원대 어딘지 확인요망)
이들중
백선엽,
신현준,
김석범,
김백일,
송석하,
김홍준 등 6명이 국군 창군 원로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이들은 2009년 친일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 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