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 confirm you’re not a bot
This helps protect our community. Learn more
【K】Cambodia Travel-Sen Monorom[캄보디아 여행-센모노롬]푸농족 마을/Punong/Village/Bousra Waterfall/Elephant
18Likes
1,640Views
2019Aug 26
■ KBS 걸어서 세계속으로 PD들이 직접 만든 해외여행전문 유투브 채널 【Everywhere, K】 ■ The Travels of Nearly Everywhere! 10,000 of HD world travel video clips with English subtitle! (Click on 'subtitles/CC' button) ■ '구독' 버튼을 누르고 10,000여 개의 생생한 【HD】영상을 공유 해 보세요! (Click on 'setting'-'quality'- 【1080P HD】 ! / 더보기 SHOW MORE ↓↓↓) ● Subscribe to YOUTUBE - http://goo.gl/thktbU ● Like us on FACEBOOK - http://goo.gl/UKHX33 ● KBS 걸어서세계속으로 홈페이지 - http://travel.kbs.co.kr [Google Map Information] -Bousra Waterfall ■https://www.google.com/maps/place/%EB... -Mondulkiri Project ■https://www.google.com/maps/place/Mon... [한국어 정보] 해발 200미터에서 1000미터의 고원지대에 위치한 몬둘키리를 향해 달려간다. 그곳에서 처음 만난 건 정글 속에 숨어 있는 부스라 폭포다. 전통 옷을 입은 아이들이 보인다. “아이들 입은 옷은 뭐예요?”“프농족 옷이에요.” “이곳에 오기가 쉽지 않아서 기념하려고 입었어요.” 주로 화전과 수렵을 하며 살았던 프농족. 만 원 정도를 내면 그 모습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안쪽에 입은 게 없어서 시원하네요.” 몬둘키리주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면적이 넓지만 인구 밀도는 가장 적다. 이곳에 대표적인 소수 민족 프농족을 찾아가 봤다. “안녕하세요 여기가 무슨 마을이에요? “ “꾸당 마을이에요.” 도시가 개발되면서 프농족은 삶의 터전을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여기서 처음에는 다섯 가구가 살고 있었어요. 원래 (프농족은) 모여살지 않았거든요 여기 조금 저기 조금 살았었죠.” 아주머니가 보여줄게 있단다. “이 집이 프농족의 엣날 집이에요.” 지금도 사람이 살고 있는 전통 집에 들어서니 세간살이들과 함께 돼지도 한 마리 보인다. 꼭 우리네 초가집을 연상케한다. 쌀 고르는 모습도 예전의 우리와 꼭 닮았다. “밥 짓고 나머지는 물기를 빼서 술을 담을 거예요.”“어디에요?””저기요 지금 술이 들어있어요.” 일주일 전에 담근 술이 항아리에 있다는데 쌀 겨와 누룩을 발효한 것이라고 한다. “제사 지낼 때 아플 때 힘들 때 술을 사용해요.” 그런데 나뭇잎은 왜 뜯는 걸까? “쌀겨가 위로 떠오르면 술 마실 때 불편해요.” 항아리 안에 나뭇잎을 넣는 이유는 물 위에 뜬 쌀겨를 거르기 위함이란다. “술 마실 때 쓰는 거예요.” 보통 빨대를 이용해 술을 마시면 빨리 취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여기선 이게 전통이란다. 잘 빨리지 않아 민망한지 본인들도 웃음을 참지 못한다. 하지만 곧 술이 빨대를 따라 올라오고 맛있게 들이킨다. 나도 가만있을 수 없어 마셔봤다. 알코올 함량은 적었고 단맛이 낫다. “마을에 코끼리 없어요?””전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숲 안에 있어요. 여기선 코끼리가 먹을 게 없잖아요. 숲에는 먹을 게 있으니까 거기서 살고 있어요.”“코끼리를 보려면 숲으로 가 보세요. 거기에 주인하고 (함께)있을 거예요.” 오래전부터 코끼리를 이용해 짐을 옮기고 땅을 경작했다는 프농족. 하지만 지금은 기계가 들어오면서 코끼리가 했던 일들을 대신하고 있다. “뭐 키우세요?” “밭벼 키우고 있어요.”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코끼리는 더욱더 깊은 숲속으로 들어가야 했다. “다른 사람 밭에 못 들어가게 하는 거죠. (코끼리가) 농작물을 먹어버리면 안 되니까요.” 마을 사람들은 더 이상 코끼리를 키우지 않기로 하고 남은 코끼리를 숲으로 보냈다고 한다. 한 시간 가량을 걸어 들어가니 코끼리를 만날 수 있었다. 올해 38살 된 코끼리. “여기서 뭐하세요?” ”코끼리 씻기러 왔어요 날씨가 더워서 열을 식혀줘야 해요.” 하루에 한 번 코끼리를 만나 관리해준다는 케니 씨. 그런데 코끼리가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멈춰 서서 버티는 코끼리. 케니 씨가 코끼리를 살살 달래본다. 다행히 케니 씨 말을 잘 듣는다. 아버지가 키우던 코끼리와 함께 자란 케니 씨는 자신에게 코끼리는 가축이 아니고 가족이라고 한다. “코끼리랑 오래 같이 있으면 모기한테 많이 물리고 계속 숲을 돌아다녀야 해서 힘들어요.” 코끼리도 벌레에 안 물리기 위해 필사적이다. “벌레가 물어서 그래요.” 그 사이 또 벌레에 물렸나보다. 저렇게 긁다간 주위 나무들이 남아나질 않을 것 같다. 이제 식사 시간이다. 가난한 프농족에겐 바나나를 사는 것이 쉽지 않다. 더구나 바나나로 코끼리 배를 채우기에는 역부족이다. 난 근처 농장에서 바나나를 사와 코끼리에게 주었다. 이 녀석이 잘 먹는 걸 보니 내 마음도 흐뭇해진다. “하루에 40에서 200킬로그램을 먹어요 쉬지 않고 먹죠.” 코끼리는 다시 숲으로 향한다. “안녕히 가세요.” [Information] ■클립명: 아시아039-캄모디아04-04 소수민족 프농족 마을 ■여행, 촬영, 편집, 원고: 이근선 PD (travel, filming, editing, writing: KBS TV Producer) ■촬영일자: 2019년 7월July [Keywords] 마을,village,camel, dune, sand, ATV,폭포,waterfall,tarn, pond, karst, 호수, 연못, 댐, 오아시스 라군현지인생활,풍습,,local life,동물,animal,아시아Asia캄보디아Cambodia이근선20197월몬둘키리Mondulkiri ProvinceJuly걸어서 세계속으로

Follow along using the transcript.

KBS여행 걸어서 세계속으로

825K subscri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