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국립 중앙 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다. 1972년 7월 19일 발족하였으며, 지금의 박물관은 2005년 10월 28일 신축 개관한 것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 박물관의 글, 어떻게 쓸까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0년부터 3년에 걸쳐 국어 전문기관인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협력하여 ‘전시 용어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박물관의 글쓰기-전시의 처음부터 끝까지 필요한 글쓰기에 관하여』를 발간하였다. 이 책은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공동기획하고 이케이북이 출판을 맡았다. 박물관의 업무를 체계화하여 대중에게 널리 소개하고자 기획한 <박물관의 일> 시리즈의 첫 번째 결과물이기도 하다. 【유물관리부】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 글쓰기
박물관 글, 어떻게 쓸까?
박물관 글쓰기의 모든 것을 알려 드립니다.
- 박물관 업무를 소개하는 「박물관의 일」시리즈, 첫 번째 결실
- 국립중앙박물관ㆍ국립박물관문화재단 공동기획『박물관의 글쓰기』대중서 발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0년부터 3년에 걸쳐 국어 전문기관인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협력하여 ‘전시 용어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박물관의 글쓰기-전시의 처음부터 끝까지 필요한 글쓰기에 관하여』를 발간하였다. 이 책은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공동기획하고 이케이북이 출판을 맡았다. 박물관의 업무를 체계화하여 대중에게 널리 소개하고자 기획한 <박물관의 일> 시리즈의 첫 번째 결과물이기도 하다.
 
□ ‘전시 용어 개선 사업’으로 박물관 글쓰기 체질 개선
 
  ‘전시 용어 개선 사업’은 전문용어나 한자어가 많은 어려운 전시 용어를 쉽고 바르게 쓰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큐레이터가 작성한 원고는 국어전문가 3인, 중학생, 전문가 감수와 쟁점 논의, 최종 반영 여부 검토에 이르기까지 총 6차에 걸친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 및 13개 소속박물관의 상설전시실을 비롯한 30개 전시의 패널, 설명문, 도록, 영상 등 각종 정보들을 새로 작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시 글을 쓰는 이와 읽는 이들이 수시로 대화하며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번에 발간된 『박물관의 글쓰기』는 그 치열한 소통의 결과물이다. 박물관은 국어문화원연합회를 비롯한 다양한 국어전문가들과 함께 박물관 글쓰기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함께 고민하여 관람객을 위한 좋은 글쓰기의 원칙과 방법들을 정리하였다. 이 책은 박물관 글쓰기의 현 주소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61가지 기본 원칙과 기술에서 배우는 박물관 글쓰기의 모든 것
 
  박물관이 기획한 전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글이 존재한다. 관람객이 전시장에서 처음 만나는 전시 패널과 전시품을 설명하는 설명카드, 관람동선에 따라 배치되는 내부 패널, 전시 영상의 대본과 자막용 원고, 전시 도록 등 그 종류는 무척 다양하다. 박물관의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좋은 글이 지녀야 할 공통된 요건과 원칙을 따르지만, 박물관의 특수성을 고려한 나름의 방향성과 기술적 측면도 분명히 존재한다. 이 책에서는 여섯 가지 주제로 나누어 박물관의 글쓰기의 모든 것을 풀어보고자 하였다.
 
  제1부 ‘박물관 글이란 무엇일까’에는 박물관 글을 쓸 때 필요한 고민들을 제시한다. 박물관 전시를 위한 적절한 구성과 다양한 형태의 글들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지를 실제 전시 사례를 들어 현장감 있게 설명한다. 또 박물관 학예연구사와 국어 전문가가 뽑은 좋은 전시 글을 선별하여 제시함으로써 좋은 박물관 전시 글을 위한 치열한 고민의 흔적들을 담아냈다.
 
  제2부 ‘박물관 글, 어떻게 쓸까’에서는 실제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전시 글의 종류를 살펴본다. 박물관의 글들은 목적과 의도에 따라 글쓰기 방식과 방법들이 달라진다. 전시 패널과 설명카드, 영상물의 스크립트, 오디오 가이드용 원고,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설명문, 보도자료 등 각각의 쓰임에 필요한 글쓰기 방법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제3부 ‘정확하게 쓰는 것은 기본이다’와 제4부 ‘원칙도 살리고 쉽고 재미있게 쓰는 기술이 있다’에서는 박물관 글이 공공 언어로서 지켜야할 기본 원칙과 실제 글쓰기에 유용한 한글맞춤법을 소개한다. 특히 전시품의 명칭, 연대, 숫자와 단위, 외래어 표기법 등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맞춤법을 여러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또 박물관 글쓰기에 필요한 항목들을 점검하는 목록도 제공하여 자신의 글을 스스로 검토할 수 있게 한 점도 특징이다.
 
  제5부 ‘궁금할 땐 어떡하죠’와 제6부 ‘한번 써볼까요’에서는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의 활용법과 유용한 기능을 소개하고, 박물관 글쓰기에 참고할 수 있는 각종 도서 목록도 함께 제공한다. 또 박물관 글쓰기의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학예연구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자주 하는 실수들을 살펴보고,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관련 기관들을 소개한다. 나아가 좋은 전시 글을 쓰기 위한 실전 연습 문제도 덧붙였다. 여기에 수록된 문장과 글은 학예연구사들이 직접 작성하여 국어전문가들이 고치고 다듬은 결과물이다. 더 나은 박물관 글쓰기를 위해 어떤 점에 유의해야하는지도 함께 정리하였다.
 
  박물관은 이번 전시 용어 개선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존의 관용적 한자어를 쉬운 말로 바꾸고 공공언어를 쉽고 바르게 쓰기 위한 기본 검증 체계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글을 작성하는 큐레이터의 표현이 글을 읽는 대중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에 올해부터는 ‘전시 용어 개선’ 사업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모두가 이해하기 쉬운 정보 제공을 위하여 ‘쉬운 전시 정보 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박물관의 글쓰기』 발간과 ‘쉬운 전시 정보 만들기’사업은 모든 관람객들에게 편안한 휴식과 쾌적한 전시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의 일환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앞으로도 박물관의 다양한 업무를 체계화ㆍ이론화하여 책자 형태로 소개한다. <박물관의 일> 시리즈의 첫 번째 성과물인 『박물관의 글쓰기』에 이어서 제2권은 소장품 관리 체계와 다루는 방법, 박물관 안쪽의 수장고에서 이루어지는 생생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박물관 소장품 다루기』를 발간할 계획이다. 이 시리즈가 박물관과 박물관 일에 관심을 가진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와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학예연구사 이동관(02-2077-9394)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문보기
 

 
붙임 1
『박물관의 글쓰기』 미리보기 (주요 내용)
 
□ 주요 내용
 
『박물관의 글쓰기』에 실린 모든 예문은 실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전시의 글 중에서 학예연구사와 국어 전문가가 좋은 예를 고른 것이다. 분야와 대상, 목적에 따라 공공언어로서의 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예문들로 구성하고 설명을 추가하여 글이 용도에 따라서 어떻게 바뀌었는지 알 수 있게 했다.
 
1. 전문 용어
 
석촉 ⇒ 화살촉 / 지석묘 ⇒ 고인돌 / 어망추 ⇒ 그물추 / 장신구 ⇒ 꾸미개
 
2. ‘박물관 학예연구사가 뽑은 좋은 전시글’에서
 
〈세한도〉 속 세한. 〈세한도〉는 조선 최고의 문인화(文人畫)로 평가받습니다. 문인화는 화가가 아닌 사대부 계층이 취미로 그린 그림으로, 대상을 있는 그대로 그리기보다는 화가가 전하고자 하는 뜻을 함축적으로 담아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때문에 김정희는 가슴속에 천만 권의 책을 품어야 그림을 그릴 수 있다고 했습니다. 김정희는 〈세한도〉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추위와 시련을 어떻게 표현했을까요? _2020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歲寒) 평안(平安)》 주제 패널
 
3. ‘국어 전문가가 뽑은 좋은 전시글’에서
 
수표. 〈질문 1〉 수표는 왜 만들었을까요? 조선시대 한성 한가운데에는 청계천이 흘렀어요. 큰비가 내려 청계천이 넘치면 그 주변의 집들과 시내가 물에 잠겨버렸지요. 세종은 청계천이 넘쳐 백성이 피해를 입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수표를 만들게 하였어요. 하천의 물 높이를 보고 가뭄과 홍수를 예측하는 도구였던 수표는 전국의 주요 하천까지 널리 사용되어 백성이 피해를 대비할 수 있게 해준 과학적인 관측기구였어요.
 
4. ‘오디오 가이드용 원고’에서
 
권진규(1922~1973), 1960년대 제작. 〈모자상〉의 어머니는 대개 행복한 표정을 짓는데, 작가는 이 상의 어머니 표정을 복합적인 느낌으로 표현했다. 어머니의 시선과 입매, 풍만한 아기를 두 다리로 받치고 탄탄한 양팔로 감싸 안은 자세에서 현실 세계로부터 아기를 지키려는 의지와 긴장감이 전해지지만, 어머니의 품속에 있는 아기는 평온하기만 하다. _어느 수집가의 초대—고(故) 이건희 회장 1주년 기념전 〈모자상〉
 
5.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설명문 제작 과정’에서
 
18세기에 일본 무사들이 입었던 갑옷입니다. 일본 무사들의 갑옷은 조그만 가죽을 색실로 이어 만들어 매우 아름다웠습니다. 하지만 입기 불편하고 무거워 전투에서 좀 더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16세기에 갑옷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이 갑옷은 몸통 부분을 판 하나로 만들고, 재료도 철로 바꾸어 적의 공격을 더 잘 막아낼 수 있게 했습니다.
 
 
□ 책 속에서
 
(27쪽) 예전에는 박물관이 교양을 쌓고 공부하는 곳이라고 생각했다. 오랫동안 박물관은 관람객에게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곳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고 관람객은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런데 요즘은 어떨까?
 
박물관이 담당하는 교육적인 측면은 여전히 중요한 부분이 긴 하나, 단지 그것 때문에 박물관을 찾지는 않는다. 바람을 쐬기 위해, 데이트하기 위해, 아이와 시간을 보내기 위해, 특정 유물이나 공간을 보고 기분 전환을 위해, 가치 있는 소비를 하기 위해, 사진 촬영을 해, 약속 장소 근처에 박물관이 있어서, 지나가다 호기심에서, 건물이 예뻐서, 문화 공연을 보기 위해서……. 헤아리다 보면 방문 이유에는 끝이 없다.
 
박물관에 오는 이유만 바뀌었을까? 전시글을 보는 눈도 그렇다. ‘바람 쐬러, 복잡한 생각을 하지 않으려고 왔는데 머리 아픈 글은 읽지 말자’, ‘얼마든지 볼 수 있는데 굳이 읽을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28쪽) 관람객이 전시글을 읽지 않으려는 이유, 요즘은 영상의 시대다. 영상에 익숙해질수록 글 읽기는 점점 힘들어진다. 재미없는 영상을 금방 돌려버리는 것처럼 글도 지루하게 느껴지면 절대 읽지 않는다. 더구나 짧은 글도 아니고 긴 글이라면 두말할 필요도 없다. 글 읽기를 어렵게 만드는 건 영상만이 아니다. 학교 교육과도 관련이 있다. 학교 교육에서, ‘읽기’는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맞춰야 하는 문제와 이어진다. 읽기는 즐거움이 아니라 시험이다. 낯선 말과 내용으로 이루어진 전시글은 즐겁지 않은 시험의 연장선일 가능성이 높다.
 
 
(47쪽) 국어 전문가가 뽑은 좋은 전시글. 박물관 글의 좋은 사례를 뽑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을 찬찬히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내용이 좋은데, 단어 하나가 어렵다든지 문장 연결이 어색하다든지 하여, 한 조각 부족함이 들어 있었다. 그만큼 글쓰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니 대중에게 선보이는 공식적인 글은 여럿이 머리를 맞대고 궁리하여 다듬고 또 다듬을 필요가 있다. 잘 구성되었다고 생각되는 글을 소개하며 왜 괜찮다고 보았는지, 또 한 조각 고칠 점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예) 식물 채집과 농사짓기 : 식물 채집은 신석기시대 중요한 생계 수단이었다. 도토리, 가래, 살구 등 다양한 야생식물을 먹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석기인들은 점차 땅을 일궈 조, 기장 등을 재배하였다. 농사는 자연이 주는 그대로가 아니라 인간이 특정 자원을 생산해내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땅을 일구고 이삭을 거두기 위해 괭이, 낫 등을 사용하였다.”
 
이 글은 신석기시대의 생계 수단인 식물 채집과 곡식 재배를 이야기한 것이다. 특히 농사의 역사적 의미를 알기 쉽게 기술하여 문화의 발전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한 점이 좋다. 또 농사를 짓기 위해 농기구가 사용된 점도 함께 언급하여 이 시기의 정황을 상상할 수 있게 한 점도 좋다.
 
 
(73쪽) 쉬운 전시글은 어떤 글일까?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글이 아니라 전시글을 읽었을 때 대부분 사람이 큰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큐레이터가 관람객의 입장이 되어 무엇이 궁금할지, 큐레이터가 말하고자 하는 걸 관람객의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하는 것인지를 따져보면 글쓰기가 한결 수월하다. 전시에 관심이 있을 법한 지인을 떠올리거나 가족을 떠올려도 도움이 된다.
 
중학교 2학년 수준의 글쓰기라고 하지만 정작 중학교 2학년이 전시글을 읽는 경우는 드물다. 누가 전시글을 읽을까? 경험으로 보면 초등학생이나 청소년이 전시글을 읽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전시글은 대부분 성인 가운데 전시에 특별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읽는다. 전시를 보러 와도 전시글을 읽지 않은 성인이 많다. 전시글을 읽는 관람객들은 전시글이 호기심을 해결해 주거나, 전시를 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다. 아래 글은 쉬운 전시글로 고쳐 써본 예다.
 
“(예) 백제 사찰은 정림사와 왕흥사, 미륵사 등이 대표적이다. 백제의 우수한 건축 기술과 독창적인 가람 배치는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백제를 대표하는 절에는 정림사와 왕흥사, 미륵사 등이 있다. 이 절들은 백제의 우수한 건축 기술과 독창적인 건물 배치 방식을 보여 준다. 백제의 절 건축 기술은 이후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17쪽) 문화생활에 쉽게 접근하기 힘든 사람들. 시각 혹은 청각 장애가 있는 관람객이 이해하기 쉬운 설명문은 무엇일까? ‘중학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문 쓰기’라는 명제는 박물관이 오랫동안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문제다. 하지만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설명문 쓰기는 수어 전시 안내와 점자책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지원팀에서의 근무 경험이 없다면, 이에 대해 생각해보지 못한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2020년부터 2021년에 걸쳐 추진된 세계문화관 ‘문화취약계층 전시접근성 강화’ 사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전시(점자안내문)와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전시 안내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었다. 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헌법으로 보장된 문화생활이라는 기본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소외된 계층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오감에 불편함이 없는 관람객에게 모든 초점이 맞춰진 유물 설명문은 오늘도 박물관을 방문한 수많은 장애인 관람객에게는 불친절한 전시글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설명문 쓰기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118쪽) 언어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모두 한글이 제1언어일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시각장애인에게는 점자(點字)가 제1언어이고, 청각장애인에게는 수어(手語)가 제1언어다. 이들에게 한글은 제2외국어와 같다. 우리는 다른 나라 말인 영어를 이해하기 위해 문법을 공부하고 사전을 들춰보지만, 장애인에게는 그것조차 쉽지 않다. 왜냐하면 한 가지 이상의 감각이 결여되었을 때 사물과 언어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혹자는 시각장애인은 설명글을 볼 수 없을지라도, 눈으로 볼 수 있는 청각장애인은 한글로 쓰인 일반 설명문을 읽을 수 있지 않느냐고 반문한다. 눈이 잘 보이는데 별도의 설명문이 필요하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의문은 온전히 비장애인의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시각과 청각을 모두 상실했던 헬렌 켈러(Helen Keller, 1880~1968)의 일화는 우리에게 말해준다. 장애인들이 사물과 그것에 상응하는 언어를 인식하고 이해할 때, 일반인이 생각하지 못한 복잡하고 어려운 점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203쪽) 모든 이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 언어가 읽기 쉬워야 한다는 점에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박물관도 예외일 수 없다. 더 이상 어렵다는 변명과 넋두리에 갇혀 미룰 순 없다.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작업하면서 박물관에서는 그 이전보다 더 쉽게 글을 풀어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포기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반가사유상처럼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이 있을 경우, 한자어 표현이어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지 않은 지명이나 인명이 나올 경우, 보다 정확한 정보를 주고자 한자와 영문을 함께 표기하는 것이 그런 경우라 할 수 있다. 국어문화원연합회에서는 한자와 영문 병기를 지양한다. 이러한 정보들이 글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물관에는 어린이부터 문화재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까지 각양각색의 관람객들로 넘쳐난다. 중학생 수준 이상으로 좀 더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까지 함께 생각하는 것은 무리일까?
 
국립박물관의 글은 공공 언어이자 우리 문화재를 설명하는 글이기에 어떠한 표현이 가장 적정한 것인지 여전히 논의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논의에 대해 많은 학예연구사들이 공감하고 있고, 노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 차례
 
・들어가는 말/ 박물관 글이 문제라고요? 4
 
・1부 박물관 글이란 무엇일까
 
1 생각보다 생각할 것이 많은 박물관 글 16
2 공공 정보로서의 신뢰성을 지켜야 한다 19
3 천천히 스며드는 글 24
4 박물관 글쓰기에서 염두에 둘 두 가지 25
5 관람객에게 전시글이란 27
6 질문을 던지는 전시글 31
7 와닿는 글을 위하여 33
8 좋은 디자인은 전시 기획의 의미를 효율적으로 전해준다 35
9 박물관 학예연구사가 뽑은 좋은 전시글 37
10 국어 전문가가 뽑은 좋은 전시글 47
 
 
・2부 박물관 글, 어떻게 쓸까
 
1 큐레이팅이란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과정이다 58
2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전시글 61
3 와닿는 전시글 쓰기 63
4 잘 지은 제목은 전시의 주제를 잘 드러낸다 65
5 전시의 이유를 분명하게 드러낸 글일수록 또렷하게 와닿는다 68
6 학예연구사의 전시글 쓰기 71
7 누가 전시글을 읽을지, 먼저 생각한다 73
8 전시글에 담아야 하는 것들 76
9 단문으로 쓰기 80
10 패널과 설명 카드 83
11 보도 자료 잘 쓰는 법 92
12 영상물을 제작하려면 무엇을 준비할까 97
13 영상물을 제작할 때 주의할 사항 108
14 전시 영상물의 스크립트와 자막용 원고 111
15 오디오 가이드용 원고 113
16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설명문 쓰기 117
 
 
・3부 정확하게 쓰는 것은 기본이다
 
1 공공 언어로서 박물관 안내문 작성 기본 원칙 128
2 전시물 명칭 표기 130
3 인물과 연대 표기 132
4 숫자와 단위 표기 134
5 ‘셋방’에는 있고 ‘전세방’에는 없는 것은 138
6 입맛은 ‘돋우고’ 안경 도수는 ‘돋구고’ 141
7 아니요, 괜찮으니 오십시오 142
8 ‘되’와 ‘돼’는 정말 구별이 잘 안 돼요 143
9 낙원과 락원 145
10 ‘명사+명사-하다’의 띄어쓰기 147
11 합성 용언 띄어쓰기 150
12 보조 용언 띄어쓰기 153
13 외래어 다음에 띄어쓰기 156
14 그 밖의 띄어쓰기 159
15 문장 부호 162
16 외래어 표기법 166
 
 
・4부 원칙도 살리며 쉽고 재미있게 쓰는 기술이 있다
 
1 통하게 써야 통통한 글이 된다 178
2 부연은 비중 있는 조연이다 181
3 문단 쌓기에도 요령이 있다 184
4 나열의 원칙 187
5 일치의 원칙 190
6 배려의 원칙 192
7 그 밖의 원칙들 195
8 짧고 쉽고 정확하게 1 198
9 짧고 쉽고 정확하게 2 205
10 내 글은 괜찮은 글일까? 212
11 국립중앙박물관 고고학 관련 전시 원고 집필 원칙 220
12 국립중앙박물관 고고학 관련 전시 내용 체계 222
 
 
・5부 궁금할 땐 어떡하죠
 
1 국어사전 찾기 226
2 박물관 글쓰기 Q&A 232
3 참고 도서 236
4 국어문화원에 문의하기 244
 
 
・6부 한번 써볼까요
 
1 단어 바꾸기 252
2 문장 다듬기 257
3 문단 고치기 264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 글쓰기
【문화】[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 박물관의 글, 어떻게 쓸까
(게재일: 2023.09.06. (최종: 2023.09.06. 10:27))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