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정희(金正喜)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정희 (金正喜)
[1786~1856] 조선 후기의 서예가, 문신. 호는 완당(阮堂), 추사(秋史), 예당(禮堂)이다. 문필과 금석학자로도 이름이 높았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사기 강의 제216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6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김정희(金正喜) 사기(史記)
2. 亂 - 금문, 원래는 방직기 상에서 실이 엉켜있는 것 ;《說文解字》「亂,治也」;《文心雕龍》〈附會〉「群言雖多,而無棼絲之亂」; 악곡의 마지막 장,《論語》〈泰伯〉「師摯之始,《關睢》之亂,洋洋乎盈耳哉」; 어지럽다,《呂氏春秋》〈察今〉「故治國無法則亂」; 난리, 晋, 陶淵明《桃花源記》「自云先世避秦時亂,率妻子邑人來此絶境,不復出嫣」;《後漢書》〈劉盆子傳〉「恐其衆與莽兵亂,乃皆朱其眉以相識別」; 우매한,《史記》〈楚元王世家贊〉「國之將亡,賢人隱,亂臣貴」; 정치를 잘 다스리는,《書經》〈泰誓中〉「予有亂臣十人」;《書經》〈泰誓〉「予有亂臣十人,同心同德」
 
1)《列子》〈說符〉「取金之時不見人,徒見金」
2)《淮南子》〈說林訓〉「逐鹿者,不顧兎;決千金之貨者,不爭銖兩之價」
3) 조선 갑부, 林尙沃 「逐鹿者不見山,攫金者不見人」 林尙沃의 독서력--《史記》〈淮陰侯列傳〉「秦失其鹿,天下共逐之」; 戰國·鄭·列御寇《列子》〈說符〉「昔齊人有欲金者, 淸旦衣冠而之市, 適鬻金者之所, 因攫金而去」
4) 김영환--뜻을 얻으려는 자는 욕망을 버려야 하고, 세상을 얻으려는 자는 자기를 비워야 한다.
 
*秋史, 金正喜 글씨-「山崇海深, 遊天戱海」의 출처는?
1) 宋, 彭龜年《廣壽》 人孰炎壽,壽莫如德。日新又新,從古不息。 學以明之,先正我心。所欲旣寡,山崇海深。
2) 唐, 張彦遠《法書要錄》卷二 「臣謂鍾繇書意氣密麗,若飛鴻戱海,舞鶴游天」
김정희(金正喜) 사기(史記)
【학습】사기 강의 제216회 보충 설명
(게재일: 2018.11.27. (최종: 2018.11.27. 21:01))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조선 실학
부 : 김노경
스승 : 박제가
제자 : 허련, 조희룡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