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도자기(陶瓷器)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도자기 (陶瓷器)
질그릇, 오지그릇, 사기 그릇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 모든 도자기는 가소성(可塑性) 재료인 찰흙으로 만든다.
◈ 지식지도 관계
도자기 (陶瓷器) 고려 청자 (高麗靑瓷) 백자 분청사기 (粉靑沙器) 옹기 (甕器) 조선 백자 (朝鮮白瓷) 청자 (靑瓷) 토기 (土器) 가지 무늬 토기 검은 간 토기 도요지 (陶窯址) 민무늬 토기 부리토기 (----土器) 붉은 간 토기 (----土器) 빗살무늬 토기 (櫛文土器) 상형 토기 세발 토기 (----土器) 순청자 (純靑瓷) 청화 백자 김해 토기 미송리식 토기 백자 박산 향로 백자 반합 백자 상감 모란문 매병 백자 상감 모란문병 백자 주자 백자 진사 매국문병 백자 철화 승문병 백자 철화 포도무늬 항아리(포도문호) 백자 청화 매죽문병 백자 투조 모란문호 분청사기 박지연어문 편병 분청사기 상감 모란당초문호 분청사기 상감 용문호 분청사기 연화문 편호 분청사기 조화수조문 편병 분청사기 철화어문호 서수형 토기 오리 토기 (----土器) 차륜식 토기 청자 귀형 수병 청자 기린 유개 향로 청자 비룡형 주자 청자 사자 유개 향로 청자 상감 모란무늬 방구리 청자 상감 운학무늬 매병 청자 상감 유죽 연로 원앙무늬 정병 청자 상감 진사 모란무늬 매병 청자 소무늬 과형병 청자 오리 수적 청자 음각 연화 당초무늬 매병 청자 칠보 투각 향로 (미정의) 다완
◈ 조회순
2019.09.18
【관광】 - 조선백자의 산실을 알리다, 광주왕실도자특별전 -   【광주시】  2019.09.18
2024.04.05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23년 국립박물관·미술관 평가인증제 심사에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기획운영과】
2024.01.05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소장 도자 조사연구 사업의 최신 성과를 담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를 2023년 12월에 발간하였다(붙임 사진1). 이 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이 보관․전시 중인 고려 상형청자 가운데 주자注子, 연적, 인장, 베개, 묵호墨壺(먹물을 담는 그릇), 승반承盤(주자를 받치는 그릇), 완盌, 필가筆架(붓꽃이) 등 9가지 기종의 24건 36점을 대상으로 개요논고와 함께 상세한 설명, 사진, 실측도면,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의 과학적 조사 분석 결과를 수록한 종합 자료집이다. 【미술부】
2023.12.21
[국립광주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새단장 ‘조물조물 꿈을 빚는 도자기’전면 개편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조물조물 꿈을 빚는 도자기’를 주제로 어린이박물관을 새롭게 단장하여 2024년 1월 2일에 재개관 한다. 【학예연구실】
2023.10.18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0일(금) 13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조선의 공간과 도자기”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예연구실】
2019.12.17
웅천도요지전시관, 한 일 도자문화 교류 순회전 개최
【문화】 웅천도요지전시관은 오는 20일부터 2020년 3월 8일까지 ‘조선도자, 히젠肥前의 색을 입다’ 순회전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공보관 (055-225-2145)】
 
◈ 최근등록순
2024.04.05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23년 국립박물관·미술관 평가인증제 심사에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기획운영과】
2024.01.05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소장 도자 조사연구 사업의 최신 성과를 담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를 2023년 12월에 발간하였다(붙임 사진1). 이 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이 보관․전시 중인 고려 상형청자 가운데 주자注子, 연적, 인장, 베개, 묵호墨壺(먹물을 담는 그릇), 승반承盤(주자를 받치는 그릇), 완盌, 필가筆架(붓꽃이) 등 9가지 기종의 24건 36점을 대상으로 개요논고와 함께 상세한 설명, 사진, 실측도면,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의 과학적 조사 분석 결과를 수록한 종합 자료집이다. 【미술부】
2023.12.21
[국립광주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새단장 ‘조물조물 꿈을 빚는 도자기’전면 개편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조물조물 꿈을 빚는 도자기’를 주제로 어린이박물관을 새롭게 단장하여 2024년 1월 2일에 재개관 한다. 【학예연구실】
2023.10.18
【문화】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0일(금) 13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조선의 공간과 도자기”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예연구실】
2019.12.17
웅천도요지전시관, 한 일 도자문화 교류 순회전 개최
【문화】 웅천도요지전시관은 오는 20일부터 2020년 3월 8일까지 ‘조선도자, 히젠肥前의 색을 입다’ 순회전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공보관 (055-225-2145)】
2019.09.18
【관광】 - 조선백자의 산실을 알리다, 광주왕실도자특별전 -   【광주시】  2019.09.18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토기 (15) 백과 청자 (5) 백과 민무늬 토기 (4) 백과 김해 토기 (3) 백과 백자 (3) 백과 삿무늬 토기 (3) 백과 도요지 (2) 백과 빗살무늬 토기 (2) 백과 상감 청자 (2) 백과 신라 토기 (2) 백과 신석기 시대 (2) 백과 유리 (2) 백과 청동기 시대 (2) 백과
◈ 참조 키워드
국립 광주 박물관 (3) 백과 광주 광역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