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산(山)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산 (山)
분화, 단층, 습곡 등에 의해 주위의 지면에 비해높게 솟아오른 지형.
▣ 지식지도
◈ 지식지도
(山)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근/현대 소설 이효석 (49) 근/현대 시 이육사 (22) 산에 물에 근/현대 시 김상용 (8) 산이 깨드린 로맨스 근/현대 수필 김남천 (7) 산의 표정 근/현대 시 권환 (5) 산과 구름 근/현대 시 권환 (3) 윤곤강 (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5) 백과 (3) 1943년 (2) 백과 권환 (2) 백과
◈ 참조 키워드
무주군 (2) 백과
▣ 백과사전
분화, 단층, 습곡 등에 의해 주위의 지면에 비해 높게 솟아오른 지형. 대체로 높이 수백 m 이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을 산이라 부르며, 높낮이의 차가 심하지 않은 100~600m 이내의 언덕으로 된 산지를 구릉이라 한다. 특히 3,000m 이상의 것을 고산이라 한다. 또 산이 띠 모양으로 연속되어 있는 경우를 산맥이라 하며, 그렇지 않고 많은 산이 넓은 지역에 걸쳐 모여 있는 지형은 산지라고 한다. 보통 산이라고 할 때는 육지의 산을 가리키며, 바다 밑에 있는 산은 해산, 해령, 해저 산맥 등과 같이 따로 구별하여 부른다.
 

형성

산은 그것이 생겨난 원인과 구성 물질에 따라 화산, 단층 산맥, 습곡 산맥, 침식 산지 등으로 나뉜다.
 
① 화산 : 마그마가 분출하여 용암이나 화산재가 되어 주위에 쌓인 것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것이다.
 
② 단층 산맥 : 조산 운동에 의해 지표의 일부가 끊어져서 솟아올랐거나 내려앉아서 주위보다 높아진 것이다.
 
③ 습곡 산맥 : 지질 시대에 오랜 조산 운동의 결과 지표가 솟아오르고 주름이 잡혀 주위보다 높아진 것이다.
 
④ 침식 산지 : 지면이 침식을 받아 깊어진 골짜기에 의해 원래의 지형이 높이 솟아오른 것이다.
 
 

분포

세계의 큰 산맥은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와 알프스 히말라야 조산대의 두 조산대에 속해 있으며, 큰 산도 모두 이 곳에 몰려 있다.
 
또 지질 시대에 형성된 습곡 산맥이 침식과 풍화 작용을 받아 서서히 깎여서 대체로 편평한 지형이 되는데, 이를 대지(臺地)라 한다.
 
또 그 중에서 지표에 처음 나타난 이래 침강한 일 없이 계속해서 침식과 풍화 작용을 받은 지역을 순상지(楯狀地)라 하며, 이 지역은 매우 평탄하고 단단한 암석으로 형성된 곳이 많다.
 
우리 나라는 전 국토의 78% 정도가 산지인데, 북부 지방은 신생대 이후의 지층으로 험준한 고산이 많고, 남부 지방은 지질이 오래 된 중생대 이전의 지층으로 2,000m 이상의 높이를 가진 산이 없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은 높이 2,744m의 백두산이며, 남부에서는 높이 1,950m의 한라산이 가장 높다.
 

산과 인간 생활

산은 오랜 옛날부터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우리 나라와 인도, 일본 등에서는 산을 숭배하여 산신 신앙이 생겼다. 곧 우리 나라 각지에 산신령을 제사지내는 사(祀=師)에서 비롯된 국사봉(國師峰)이라는 이름의 산이 많은 것이라든가 조상이 묻힌 묘를 산소(山所)라 하는 것이 그 예이다. 또 산은 등산의 대상이 되며, 특히 경치가 뛰어나고 암석, 계곡, 폭포 등의 자연미가 빼어난 곳은 관광지나 휴양지로 개발된다. 또한 산업의 대상으로서, 낮은 산에서는 임업, 농업, 목축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목재와 연료의 생산 이나 고산 식물의 재배 및 양 따위의 방목이 이루어진다.
 
현재 우리 나라는 산을 국립 공원이나 도립 공원으로 지정함으로써 그 자연 경관을 보호하는 데 힘쓰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