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삿무늬 토기(------土器)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삿무늬 토기 (------土器)
우리 나라 원삼국 시대의 대표적인토기의 하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삿무늬 토기 (------土器) 도자기 토기 가지 무늬 토기 검은 간 토기 고려 청자 귀때 토기 도장 무늬 토기 도질 토기 민무늬 토기 백자 부리토기 분청사기 붉은 간 토기 빗살무늬 토기 상형 토기 세발 토기 신라 토기 옹기 조선 백자 청자 김해 토기 김해 회현리 패총 미송리식 토기 서수형 토기 오리 토기 차륜식 토기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민무늬 토기 (3) 백과 도자기 (2) 백과
▣ 백과사전
우리 나라 원삼국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의 하나.
 
삿무늬란 짚 등으로 짠 삿자리의 겉면을 찍어 낸 흔적같이 나타낸 장식 무늬로, 흙으로 토기를 만들 때 새끼 등을 감은 두들개로 두드림으로써 그 흔적이 그릇 표면에 나타난 것이다. 삿무늬 토기는 승석문 토기라고도 하였는데, 승석문이란 삿무늬의 한자어이다.
 
그리고 이 무늬 토기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에 나오는 김해 조개더미 의 이름을 따서 김해 토기라고도 한다.
 
김해 조개더미에서는 연질 또는 경질의 회색·적갈색 때린무늬 토기 등 여러 민무늬 토기가 나왔지만, 일반적으로 김해 토기는 삿무늬가 만들어진 경질의 회도를 가리키게 된 것이다. 이 회색 토기는 민무늬 토기에 중국식 회도의 기법이 더해져 만들어진 토기로 보이는데, 중국식 회도의 삿무늬 토기는 초기 철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토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새로운 특색은 양질의 바탕흙을 사용하였다는 것이며, 지금까지와 같은 노천요가 아닌 지붕을 가진 폐쇄된 실요 또는 터널식 요를 이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구워진 토기 는 그 색상이 적갈색에서 회색으로 변해 갔다. 곧, 산소 공급이 충분한 노천요에서 토기를 구울 때는 흙 속의 철분이 산화되어 토기의 색상이 적갈색이 되지만, 폐쇄된 실요에서 구울 때는 흙 속의 철분에 들어 있던 산소가 빠져 나가 토기의 색은 회색 또는 회청색이 되는 것이다. 웅천 조개더미 의 퇴적층을 살펴보아도 연대가 오래 된 아래층에는 적갈색의 토기가 많고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회색 토기가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삿무늬 토기는 종래의 적갈색 토기에서 회색 토기로 바뀌는 과정에 있었다. 이 때 적갈색 토기는 물이 스며드는 자기였음에 비하여 회색 토기는 물이 스며들지 않아, 이는 곧 물기가 스며드는 토기에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회색 토기로 한 단계 발전한 것으로서 가히 토기 혁명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토기는 선사 시대에서 삼국 시대 전기로 바뀌는 지표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삿무늬 토기의 특징은 끈을 감거나 끈무늬· 격자 무늬를 새긴 나무방망이 등의 도박이라는 문양내는 도구, 곧 두들개를 써서 무늬를 만드는 데 있다. 두들개를 이용해 삿무늬를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평행선 을 둘러 삿자리 무늬를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토기 표면을 두드려서 항아리의 몸체를 단단히 하는 동시에 무늬를 남기기 위한 것이다. 대개 삿무늬는 둥근밑에 주둥이 가 넓은 광구 항아리에만 나타나며, 다른 모양의 항아리 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토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물레를 사용한 흔적이 보이기는 하지만, 발로 차서 돌리는 정식 물레가 사용된 것 같지 않다. 그보다는 손으로 돌리는 간단한 돌림판(turntable)을 사용하여 주둥이 부분 등을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항아리 모양으로는 납작밑의 광구 항아리, 화분형 항아리, 둥근밑의 광구 항아리, 굽다리 대야형의 그릇, 다리에 구멍과 뚜껑이 없는 굽다리 접시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 처음 나타나는 중요한 조리 기구로는 둥근 바닥에 작은 구멍들을 뚫어 놓은 시루를 들 수 있다.
 
한편, 이 삿무늬 토기에는 도질이나 석기질과는 다른 와질 토기도 있다. 이 와질 토기 가운데 쌍뿔손잡이가 달린 그릇에 한해서 김해 토기에서와 같은 삿무늬가 만들어져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