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쓰시마섬([對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쓰시마섬 ([對馬]--)
우리 나라와 일본의 규슈 사이에 있는 섬. 인공 운하에 의해 남·북의 두 섬으로 나뉘었으며, 총면적은 699㎢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 지식지도 관계
쓰시마섬 ([對馬]--) 왜구 (倭寇) 1380 진포 대첩 나가사키 현 (長崎県) 이키섬 (壱岐島) 마쓰우라시 (松浦市) 1396년 이은 (李殷) 대마도 정벌 1376 홍산 대첩 1383 관음포 대첩 14C말 왜구의 침입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마도일기 (1907년) 馬島日記 개인기록물 문석환 의사 (48) 이은 李殷 근/현대 수필 김동인 (8) 마도일기 (1908년) 馬島日記 개인기록물 문석환 의사 (7) 도대마도가 到對馬島歌 시조 백수회 (2)
◈ 조회순
2024.09.05
028. 상생(相生)한 표류인(漂流人) 이야기
【문화】 거제부지도 〈지도 1〉의 오른쪽(동쪽)에 ‘대마도 산천 수로 480리(對馬島山川水路四百八十里)’라고 적혀 있다. 거제의 포구가 나란히 바다를 사이에 두고 대마도와 마주 보고 있는 것을 뜻하는데, 〈지도 2〉를 보아도 정말 가까이 있는 두 섬인데. 그래서 두 섬 사이에는 잔혹한 전쟁사뿐만 아니라 따뜻한 위로의 이야기도 있다. 바로 표류인이 그것이다.
2024.09.05
027. 거제도에서 보이는 섬 대마도
【문화】 “왜(倭)가 고성, 죽림, 거제(固城·竹林·巨濟)를 노략질하니 함포천호 최선(合浦千戶 崔禪)과 도령 양관(都領 梁琯) 등이 싸워 격파하고 300여 급을 참획(斬獲)하였다. 왜구(倭寇)의 침탈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라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기에 거제·고성 지역은 대마도와 최단 거리에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왜구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2018.03.08
【소식】 대마도 번주, 입장 난처해지자 문서 위조... 일본 교과서 여전히 '포로 송환 사절단' 잘못 기술
 
 
◈ 최근등록순
2024.09.05
028. 상생(相生)한 표류인(漂流人) 이야기
【문화】 거제부지도 〈지도 1〉의 오른쪽(동쪽)에 ‘대마도 산천 수로 480리(對馬島山川水路四百八十里)’라고 적혀 있다. 거제의 포구가 나란히 바다를 사이에 두고 대마도와 마주 보고 있는 것을 뜻하는데, 〈지도 2〉를 보아도 정말 가까이 있는 두 섬인데. 그래서 두 섬 사이에는 잔혹한 전쟁사뿐만 아니라 따뜻한 위로의 이야기도 있다. 바로 표류인이 그것이다.
2024.09.05
027. 거제도에서 보이는 섬 대마도
【문화】 “왜(倭)가 고성, 죽림, 거제(固城·竹林·巨濟)를 노략질하니 함포천호 최선(合浦千戶 崔禪)과 도령 양관(都領 梁琯) 등이 싸워 격파하고 300여 급을 참획(斬獲)하였다. 왜구(倭寇)의 침탈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라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기에 거제·고성 지역은 대마도와 최단 거리에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왜구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2018.03.08
【소식】 대마도 번주, 입장 난처해지자 문서 위조... 일본 교과서 여전히 '포로 송환 사절단' 잘못 기술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의병 (4) 백과 1905년 (3) 백과 민종식 (3) 백과 을사늑약 (3) 백과 1906년 (2) 백과 대한 독립 의군부 (2) 백과 왜구 (2) 백과 왜구의 침입 (2) 백과 이은 (2) 백과 이칙 (2) 이키섬 (2) 백과 임병찬 (2) 백과 최익현 (2) 백과 홍주성전투 (2) 백과
◈ 참조 키워드
왜구 (5) 백과 왜관 (3) 조선 (3) 백과 거제도 (2) 백과 거제시 (2) 백과 마도일기 (2) 삼포개항 (2) 이예 (2) 조선 통신사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0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왜구의 근거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