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열하일기(熱河日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열하일기 (熱河日記)
조선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기행문집. 정조 4년(1780년)에 청나라에 축하 사절로 가는 종형 박명원을 따라 가는 도중 열하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의 명사들과 벗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기록한 것이다. 당시 중국의 사정과 서양의 새로운 학문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에는 《허생전》 《양반전》 《호질》 등의 단편 소설도 실려 있다.
열하일기 (熱河日記) 조선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기행문집. 정조 4년(1780년)에 청나라에 축하 사절로 가는 종형 박명원을 따라 가는 도중 열하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지금의 베이징)의 명사들과 벗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기록한 것 당시 중국의 사정과 서양의 새로운 학문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에는 『허생전』 『양반전』 『호질』 등의 단편 소설도 실려 있다.
◈ 지식지도 관계
열하일기 (熱河日記) 1780 1725 박명원 (朴明源) 1737 박지원 (朴趾源) 양반전 (兩班傳) 허생전 (許生傳) 호질 (虎叱)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전 문학 (古典文學) 북학파 (北學派) 실학 (實學) 한문 소설 1780년 1683 박사정 (朴師正) 1703 박사유 (朴師愈) 1724 영조 (英祖) 1727 화평옹주 1741 이덕무 (李德懋)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4 이서구 (李書九) 1780 박종채 (朴宗采) 1807 박규수 (朴珪壽) 1821 박선수 (朴瑄壽) 연암집 (燕巖集) 과농소초 (課農小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열하일기 熱河日記 고전 수필 박지원 (246)
◈ 참조 원문/전문
허생전 許生傳 고전 소설 박지원(朴趾源) (348) 호질 虎叱 고전 소설 박지원(朴趾源) (218)
◈ 조회순
2025.08.03
【열하일기 30】재물과 복을 달라고 신에게 기원하며 종일 폭죽을 터뜨려
【문화】 의무려산 도교사원 재신전- 2 문재신 비간(比干)의 성은 자성(子姓)이고, 상나라 귀족 상왕 태정(太丁)의 아들이다. 문재신이 하는 일은 재물을 안정시키고, 재물을 지키고, 재물을 깨트리지 않는 것이다.
2025.08.04
【열하일기 32】인도에서 유래된 사자를 중국에선 리얼하게, 한국에선 해태로, 일본 개 조각상 변천 과정 설명
【문화】 《열하일기》 버스 아카데미 베이전 시 의무려산 탐방을 마치고 버스가 다시 출발했다. 버스가 출발하면 답사 대장은 자료집을 낭독하고 설명을 해주었다. 버스 안의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르자, 박수와 환호 속에 민속학자 이윤선 교수가 앞으로 불려 나왔다.
2025.08.04
【열하일기 31】고대왕조 패망사에서 교훈 얻어 술 억제하고 선행무애의 삶을 실천한 황제 생활 재조명
【문화】 당나귀와 종선여등(從善如登) 재신전 주변에는 노란 동전에 황제의 이름과 통치 철학을 표시한 부적을 매달아 놓았다. 많은 사람이 그 앞에서 사진을 찍고 리본을 매달았다. 재신전을 돌아보고 주변에 설치된 기념물을 돌아보는데, 높은 성벽 성채에 올라간 일행들의 목소리가 들려 망원으로 사진을 찍었다.
2025.07.31
【열하일기 26】일본군, 조선인 ‘일제 앞잡이’ 소문 퍼트려... 장쭤린 환담으로 오해 풀고 만주에 독립투쟁기지 구축
【문화】 베이전시와 石吾 이동녕 베이전(北鎭) 시의 아침은 아주 상쾌했다. 일찍 잔 덕분에 새벽에 일어나 책을 읽었다. 기상하면 날씨를 먼저 확인하고, 호텔 주변을 1시간 정도 산책하고 호텔에 돌아와 아침 식사를 한다. 중국 호텔 수준은 최상이고 음식도 입에 잘 맞았다.
2025.08.03
【열하일기 28】고대인, 옥돌 조각 후 35개 원소 섞은 광물성 검은 도료 칠한 흑피옥 역사적 예술적 가치 커
【문화】 순우기(珣玗琪) 전설에 따르면, 중국의 전설적 황제 순(舜)이 전국을 12주로 나눌 때, 각 주에 진산을 하나씩 정했다. 북방 유주(幽州)의 진산으로는 의무려산을 선택했다. 의무려산에서 나오는 옥(玉)인 순우기(珣玗琪)가 산출되는 곳으로 열하일기 답사에 참여하여 처음으로 방문했다.
2025.08.01
【열하일기 27】북학파.홍대용 저서 의산문답 배경된 산...유교적 전통과 다양한 실학적 사상 결합 담겨
【문화】 북진의 의무려산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관광버스는 의무려산(醫巫閭山, 867m) 풍경구로 출발했다. 여행을 시작한 지 며칠 지났지만, 대원 중에 다치거나 아픈 사람이 없어 다행이었다. 모두 즐겁게 대화하며 차창 밖에 펼쳐지는 놀라운 풍광을 구경했다.
2025.08.08
【열하일기 33】홍타이지, 명나라와 전쟁 승리 후 링하이시 외곽 산 이름 구화산 명명...9개 연꽃 봉우리 연상
【문화】 遼西 구화산 풍경구 랴오닝 서부 링하이시(凌海市) 외곽에 있는 구화산(九華山)은 요서회랑의 입구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대릉하성 명금전투 당시 후금의 홍타이지(1592~1643)가 주둔했던 곳이다.
2025.08.03
【열하일기 29】도교 속세 지혜신 범려 등 5명 전각에 모셔... 정월 초닷새 재운 기원하며 재신에게 제사 지내
【문화】 의무려산 도교사원 재신전- 1 의무려산 풍경구에 입장하여 분수대 주변을 구경하고 위로 걸어가니 웃기는 사자가 있었다. 명나라 때 만든 돌로 조각한 사자는 높이 2.4m, 길이 1.2m, 넓이 0.9m로 사자의 얼굴이 옆을 바라보며 관광객에게 많은 웃음을 선물했다.
 
◈ 최근등록순
2025.08.08
【열하일기 33】홍타이지, 명나라와 전쟁 승리 후 링하이시 외곽 산 이름 구화산 명명...9개 연꽃 봉우리 연상
【문화】 遼西 구화산 풍경구 랴오닝 서부 링하이시(凌海市) 외곽에 있는 구화산(九華山)은 요서회랑의 입구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대릉하성 명금전투 당시 후금의 홍타이지(1592~1643)가 주둔했던 곳이다.
2025.08.04
【열하일기 32】인도에서 유래된 사자를 중국에선 리얼하게, 한국에선 해태로, 일본 개 조각상 변천 과정 설명
【문화】 《열하일기》 버스 아카데미 베이전 시 의무려산 탐방을 마치고 버스가 다시 출발했다. 버스가 출발하면 답사 대장은 자료집을 낭독하고 설명을 해주었다. 버스 안의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르자, 박수와 환호 속에 민속학자 이윤선 교수가 앞으로 불려 나왔다.
2025.08.04
【열하일기 31】고대왕조 패망사에서 교훈 얻어 술 억제하고 선행무애의 삶을 실천한 황제 생활 재조명
【문화】 당나귀와 종선여등(從善如登) 재신전 주변에는 노란 동전에 황제의 이름과 통치 철학을 표시한 부적을 매달아 놓았다. 많은 사람이 그 앞에서 사진을 찍고 리본을 매달았다. 재신전을 돌아보고 주변에 설치된 기념물을 돌아보는데, 높은 성벽 성채에 올라간 일행들의 목소리가 들려 망원으로 사진을 찍었다.
2025.08.03
【열하일기 30】재물과 복을 달라고 신에게 기원하며 종일 폭죽을 터뜨려
【문화】 의무려산 도교사원 재신전- 2 문재신 비간(比干)의 성은 자성(子姓)이고, 상나라 귀족 상왕 태정(太丁)의 아들이다. 문재신이 하는 일은 재물을 안정시키고, 재물을 지키고, 재물을 깨트리지 않는 것이다.
2025.08.03
【열하일기 29】도교 속세 지혜신 범려 등 5명 전각에 모셔... 정월 초닷새 재운 기원하며 재신에게 제사 지내
【문화】 의무려산 도교사원 재신전- 1 의무려산 풍경구에 입장하여 분수대 주변을 구경하고 위로 걸어가니 웃기는 사자가 있었다. 명나라 때 만든 돌로 조각한 사자는 높이 2.4m, 길이 1.2m, 넓이 0.9m로 사자의 얼굴이 옆을 바라보며 관광객에게 많은 웃음을 선물했다.
2025.08.03
【열하일기 28】고대인, 옥돌 조각 후 35개 원소 섞은 광물성 검은 도료 칠한 흑피옥 역사적 예술적 가치 커
【문화】 순우기(珣玗琪) 전설에 따르면, 중국의 전설적 황제 순(舜)이 전국을 12주로 나눌 때, 각 주에 진산을 하나씩 정했다. 북방 유주(幽州)의 진산으로는 의무려산을 선택했다. 의무려산에서 나오는 옥(玉)인 순우기(珣玗琪)가 산출되는 곳으로 열하일기 답사에 참여하여 처음으로 방문했다.
2025.08.01
【열하일기 27】북학파.홍대용 저서 의산문답 배경된 산...유교적 전통과 다양한 실학적 사상 결합 담겨
【문화】 북진의 의무려산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관광버스는 의무려산(醫巫閭山, 867m) 풍경구로 출발했다. 여행을 시작한 지 며칠 지났지만, 대원 중에 다치거나 아픈 사람이 없어 다행이었다. 모두 즐겁게 대화하며 차창 밖에 펼쳐지는 놀라운 풍광을 구경했다.
2025.07.31
【열하일기 26】일본군, 조선인 ‘일제 앞잡이’ 소문 퍼트려... 장쭤린 환담으로 오해 풀고 만주에 독립투쟁기지 구축
【문화】 베이전시와 石吾 이동녕 베이전(北鎭) 시의 아침은 아주 상쾌했다. 일찍 잔 덕분에 새벽에 일어나 책을 읽었다. 기상하면 날씨를 먼저 확인하고, 호텔 주변을 1시간 정도 산책하고 호텔에 돌아와 아침 식사를 한다. 중국 호텔 수준은 최상이고 음식도 입에 잘 맞았다.
2025.07.26
【열하일기 25】고구려 영토였다가 수당 전쟁 때 뺏겨...명나라 때 여진족 방어 군사요충지
【문화】 광녕성(廣寧城) 축제 베이전(北鎭) 시의 진산(鎭山)인 의무려산(867m)을 황제가 광녕공(廣寧公)으로 봉하여 금에서 청 말기까지는 도시를 광녕이라고 불렀다. 1913년에 후난성(湖南省)의 광녕현과 지명이 같아 개칭되었다.
2025.07.25
【열하일기 24】중국 역대 제왕, 의무려산 산신에게 전란 및 재난 발생 또는 순방시 제사 지낸 곳
【문화】 북진묘 《열하일기》 답사단을 태운 관광버스는 신민(新民) 팔기군 유적지를 구경하고 베이전(北鎭) 시로 향했다. 안 대장과 가이드는 해가 서쪽으로 저물어 시내 외곽에 있는 북진묘(北鎭廟)를 먼저 갔다가 광녕성을 방문한다고 일정을 알려주었다.
2025.07.14
【열하일기 23】광해군에 여진 진영 상세 보고 후 후금과 우호관계 고언 및 침입 대비, 국방 경계 강화 건의
【문화】 또 한 명의 충무공, 정충신 2019년 7월 4일부터 7일까지 국립 제주대학교에서 개최된 제10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2분과 ‘고려의 해양문화’에 참가하여 〈운주사(運舟寺) 석불·석탑 군에 숨겨진 역사〉를 발표하였다. 6일 답사 날에는 제주 화북 환해장성를 구경하고 연북정에 올라 바다를 바라보았다.
2025.07.13
【열하일기 22】권율, 노비 출신 병사에게 무술 가르치고 정찰 및 서신 전달 임무 맡겨...이항복, 면천해줘 이괄의 난 진압 공로
【문화】 청나라 팔기제를 조선 국왕에게 알린 정충신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아침 식사를 마치고 짐을 챙겨 관광버스에 오르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중국 자료집 〈닫힌 세상에서 열린 세상으로 나아가는 여정 문명의 보고서〉를 꺼내 일정과 방문지를 확인하고 자료집의 글을 한 사람씩 읽는다. 버스 중간 줄에 앉은 김완숙 대원 차례가 되었다.
2025.07.11
【열하일기 21】누르하치, 25세 13벌 갑옷 군사 일으켜 만주벌판 흩어진 여진족 통일
【문화】 소백기와 팔기제도 만주에서 여진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누르하치(Nurhaci, 努爾哈赤, 1559~1626), 아이신 기오로(Aisin gioro, 愛新覺羅)는 랴오닝성(遼寧) 新賓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적부터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하고 무예가 뛰어났다.
2025.07.07
【열하일기 20】청 태종, 선양~고가자 200리 진흙탕 지대 흙 쌓아 길 만들고 돌다리 완성
【문화】 영안교 《열하일기》 답사단은 연암이 지나간 선양의 영안교(永安橋)를 방문하지 않았다. 연암은 1780년 7월 12일 무자일에 선양(瀋陽)에서 출발하여 영안촌 포항에 있는 길이 37m, 폭 8.9m의 영안교(永安橋)를 거쳐 흥륭점을 지나 85리를 가서 고가자(孤家子)에서 머물고,
2025.07.07
【열하일기 19】치방위안, 자전적 소설 영문 발간으로 전 세계 소개... 중국 본토 어린 시절과 대만 성년 삶 기록
【문화】 거류하를 가다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은 선양 고궁과 장학량(張學良) 자택을 관람하고 버스에 올라 선양시 북서쪽에 있는 신민 시로 향했다. 버스를 타고 가면서 바라본 들판은 정말 광활했다. 텅 비어 있는 평화로운 땅에 자꾸 눈길이 가서 계속 밖을 바라보았다.
2025.07.04
【열하일기 18】과거 조선 사신들 걸었던 길 그대로, 흥성고성
【문화】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시에서 불과 2시간 거리에 흥성고성이 있다. 이 성은 조선 사신이 남긴 자료가 많다. 성벽의 높이는 8.8m이고, 길이가 3.2km이다. 연암 일행은 고성 밖에서 자고 7월 19일 을미일에 성안에 들어와 조씨 패방을 보았다.
2025.07.04
【열하일기 17】바이센 교수, ‘왕래 잦았던 조대수 패방 등장 인물 12점 중 3점은 조선 사신과 깊은 관련’ 주장
【문화】 中, 정조 때 있었던 '원훈초석' 그대로... 조대수 패방과 이흘(李忔) 흥성고성을 방문하고 조씨 형제 패방에 대해 본격적으로 자료들을 보기 시작했다. 선양대학교 바이센 교수는 2023년 9월에 발표한 논문 〈랴오닝성 조대수 석패방의 석각 인물 그림 고찰〉에서 “조대수는 조선 사신과 왕래가 잦았고, 패방에 등장하는 인물 12명 중 최소 3점은 조선 사신과 깊은 관련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2025.07.02
【열하일기 16】상징적 유물 확보위해 조씨 무덤 해체해 수백 개 상자 담아 옮겨 복원
【문화】 조대수 무덤과 캐나다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명나라의 오랜 관습은 아버지가 하던 일을 그대로 승계받는 것이다. 조대수(祖大壽)는 아버지의 군대를 물려받아 군문에서 근무하며 친족이 아닌 측근 장군들로 구성된 조가장(祖家將)이라는 군사 조직을 운영했다.
2025.07.02
【열하일기 15】요서 지역 조씨 가족 4대, 랴오닝지역 진압 업적 칭송위해 2개 패방 설치
【문화】 흥성고성 조씨 석패방 흥성고성 북쪽의 위원문과 서쪽의 영녕문을 멀리서 바라보았다. 성황묘를 방문하려다 거리가 멀어 포기하고 남쪽 길 보행거리를 걸었다. 남쪽 길은 동쪽 춘화문 거리 점포와는 다르게 상점이 문을 열고 관광객을 반갑게 맞이했다.
2025.07.01
【열하일기 14】2년간 현지 전투지역 답사해 46부작 제작... 청나라와 항쟁한 명장 이야기 다뤄
【문화】 장편소설, TV 드라마 《원숭환》 중국문화예술계연합회 제11회 전국 대표 회의가 2016년 11월 30일 베이징에서 개막되었다.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은 “문장의 운명은 국가의 운명과 늘 함께하고, 문맥은 국가의 맥락과 같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역설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박지원 (19) 백과 양반전 (6) 백과 호질 (5) 백과 서유문 (4) 백과 연행일기 (4) 백과 허생전 (4) 백과 북학파 (3) 백과 1780년 (2) 백과 고대 소설 (2) 백과 과농소초 (2) 백과 남정일기 (2) 박제가 (2) 백과 이서구 (2) 백과 일기 (2) 백과 조선 정조 (2) 백과 조천일기유고 (2) 백과 홍대용 (2) 백과
◈ 참조 키워드
박지원 (8) 백과 베이전 시 (8) 의무려산 (8) 뤼순감옥 (5) 백과 흥성고성 (5) 백과 누르하치 (4) 백과 다롄시 (4) 백과 비사성 (4) 백과 다렌 시 (3) 백과 도교 (3) 백과 병자호란 (3) 백과 신민시 (3) 백과 원숭환 (3) 이성량 (3) 백과 일신수필 (3) 조대수 (3) 흥성시 (3) 백과 고조선유적답사회 (2) 광해군 (2) 백과 링하이시 (2) 마부대 (2) 백과 백상루 (2) 백과 베이징 (2) 백과 북진묘 (2) 북학파 (2) 백과 삼전도비 (2) 백과 선양시 (2) 백과 신익성 (2) 백과 신채호 (2) 백과 안중근 (2) 백과 연북정 (2) 영원대첩 (2) 유상근 (2) 의산문답 (2) 백과 이서구 (2) 백과 재신전 (2) 정충신 (2) 백과 제주특별자치도 (2) 백과 청 태종 (2) 백과 최흥식 (2) 칠불사 (2) 홍대용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박지원의 기행문집.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