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오례(五禮)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오례 (五禮)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거행한 다섯 가지의의례.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사기 강의 제235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4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사기(史記) 오례(五禮)
* 五禮 -- 西周 형성,春秋 파괴(禮崩樂壞), 秦漢代 회복 ;《史記》〈五帝本紀〉「歲二月,東巡狩,至於岱宗,柴,望秩於山川。遂見東方君長,合時月正日,同律度量衡,脩五禮五玉三帛二生一死爲摯,如五器,卒乃復。」
 
1) 吉禮(天神, 地祗, 人鬼의 祭祀)
(1) 祀天神--昊天上帝;祀日月星辰;祀司中, 司命, 雨師(2) 祭地祗--祭社稷, 五帝
 
2) 嘉礼(인간관계의 감정 화합, 소통, 연계의 예의)
(1) 飮食禮 (2) 婚、冠禮 (3) 賓射禮 (4)饗宴禮 (5)脤膰禮 (6)賀慶禮
 
3) 賓禮(빈객의 접대 예의)
 
4) 軍禮(군대의 훈련과 정벌 예의)
 
5) 凶禮(망자에 대한 위문과 형식(喪, 荒, 弔, 禬, 恤) 예의)
 
 
*《荀子》〈勸學〉「鍥而舍之, 朽木不折, 鍥而不舍, 金石可鏤」
滌生(滌蕩過去, 獲得新生) 曾國藩
 

 
1. 穀 - 금문, 원래는 농기구로 곡식을 탈곡하는 것 ; 《說文解字》「穀,續也,百穀之總名」; 곡식,《論語》〈微子〉「四体不勤,五穀不分」; 관리봉급(祿),《荀子》〈王霸〉「穀祿莫厚焉」; 工資와 薪水(開門七件事--柴, 米, 醬, 茶, 油, 鹽, 酢) ; 좋은,《詩經》〈陳風〉「穀旦於差(選擇), 南方之原」; 부양하다,《詩經》〈小雅〉「以穀我士女」; 살아있는,《詩經》〈王風〉「穀則異室,死則同穴」; 穀雨 ; 粟의 별칭,稻의 열매(쌀 낟알)
사기(史記) 오례(五禮)
【학습】사기 강의 제235회 보충 설명
(게재일: 2019.05.24. (최종: 2019.06.22. 21:49))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