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옥(李鈺)
이옥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이옥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옥 (李鈺)
[1760(영조 36년) ~1815] 영조~순조 연간의 문인으로 호는 문무자(文無子). 박지원과 거의 동시대에 살면서 한문 소설의 쌍벽을 이룸. 그는 소설의 문체를 고집하여, 문체반정 때 연암과 함께 정조의 준엄한 질책을 받았고 불우하게 일생을 보냈다. 23편의 한문 소설을 남겼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이옥 (李鈺) 문체 반정 북학파 세도 정치 실학 김조순 박지원 김려 남공철 박규수 박제가 순조 유득공 이덕무 이서구 정약전 홍대용 정철조 박종채 박선수 담정총서 양반전 연암집 열하일기 자산어보 허생전 호질 과농소초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심생전 沈生傳 고전 소설 이옥(李鈺) (330) 남령전 南靈傳 고전 소설 이옥(李鈺) (14)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고대 소설 (2) 백과 한문 소설 (2) 백과
◈ 참조 키워드
담정총서 (3) 백과 매화외사 (2)
▣ 백과사전
[1760(영조 36년) ~1815] 본관은 전주이며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호는 경금자(絅錦子), 매화외사(梅花外史) 이외에도 여러 개를 썼으며 자는 기상(其相)이다.
 
영조~순조 연간의 문인으로 호는 문무자(文無子). 박지원과 거의 동시대에 살면서 한문 소설의 쌍벽을 이룸. 그는 소설의 문체를 고집하여, 문체반정 때 연암과 함께 정조의 준엄한 질책을 받았고 불우하게 일생을 보냈다. 23편의 한문 소설을 남겼다.
 
이옥 가문은 5대조 이경유(李慶裕)와 그의 형 이경록(李慶祿)이 무과에 급제하면서 문관(文官)에서 무관(武官)으로 전신한 집안이다. 이경유가 본처와의 사이에 아들을 두지 못해 서자 이기축(李起築)이 대를 이었으며 기축 역시 무과에 급제하고 기축의 아들로 이옥의 증조부가 되는 만림(萬林)도 무과에 합격하였다. 이옥의 가문은 왕족의 피가 흐르고 있기는 하지만 무반으로 전신한 데다가 기축이 서자라는 사실과, 집안의 당색 또한 북인의 일파인 소북 계열이었기 때문에 노론의 세가 막강했던 조선 후기에 소북 출신이라는 배경은 조선 사회에서 주변부로 밀려날 수 밖에 없었다.
 
이옥의 아버지 이상오(李常五)는 1754년 집안 인물 가운데에는 처음으로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첫번째 부인 남양 홍씨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낳았고 사별한 후 재혼하여 다시 두 아들을 두었는데 이옥은 이 둘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가는 경기도 남양 매화동으로 바닷가에는 집안의 어장이 있었고 밭으로 일구는 땅도 있었으며 집안에는 수백권의 장서가 있어 이옥은 5~6세에 이미 글을 배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집안을 살리는 방법은 과거에 합격하는 길이라 여겨 일찍부터 과거 공부에 매진하였으나 매번 고배를 마시고 1790년 드디어 과거의 1차 관문인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성균관 동재로 들어가 대과 공부를 시작하지만 때마침 불어닥친 정조 문체반정(문체를 바르게 돌린다)으로 인해 타락한 문체를 쓰는 '문제의 인물'로 거론되었다. 반성문의 글을 하루에 50수씩 지어 문체를 뜯어 고친 연후에야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벌을 받는 이후에도 정조로 부터 문체가 이상하다하여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게 하는 벌인 '정거(停擧)'를 당하였다가 군역에 강제로 복무케 하는 '충군(充軍)'의 벌을 두 차례나 받았다.
 
정조는 명말청초에 유행하던 패관소품의 문체를 모방하여 과거시험을 치르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여 문체반정을 단행하였으며 연암 박지원도 정조로부터 문체를 타락시킨 주범으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핵심 노론 집안인 연암 박지원에게는 반성문을 지어올리면 벼슬을 주겠다는 관대한 보상책으로 제시되었을 뿐이었다. 이후 이옥은 잘못된 글을 짓는다는 공식 낙인이 찍혀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고향 남양으로 낙향하여 지내다가 1815년 56세로 사망하였다.
 
그의 저술은 친구인 김려가 교정하여 《담정총서(潭庭叢書)》 안에 수록한 11권의 산문과 《예림잡패》에 시 창작론과 함께 남긴 이언(俚諺)65수가 전한다.
 
11권의 산문은 각각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데, <문무자문초(文無子文草> ·<매화외사(梅花外史)> ·<화석자문초(花石子文> ·<중흥유기(重興遊記)> ·<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稿)> ·<경금소부(絅錦小賦)> ·<석호별고(石湖別稿)> ·<매사첨언(梅史添言)> ·<봉성문여(鳳城文餘)> ·<묵토향초본(墨吐香草本)> ·<경금부초(絅錦賦草)> 등이다.
 
이 가운데에는 전(傳)23편을 비롯하여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닌 글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차최이의사전(車崔二義士傳)
문묘이의복전(文廟二儀僕傳)
열녀이씨전(烈女李氏傳)
수칙전(守則傳)
생열녀전(生熱女傳)
협효부전(埉孝婦傳)
포호처전(捕虎妻傳)
성진사전(成進士傳)
최생원전(崔生員傳)
협창기문전(俠娼紀聞傳)
정운창전(鄭運昌傳)
신아전(申亞傳)
장봉사전(藏奉事傳)
마상란 보유전(馬湘蘭 補遺傳)
가객 송실솔전(歌客宋蟋蟀傳)
부목한전(浮穆漢傳)
류광억전(柳光億傳)
심생전(沈生傳)
신병사전(申兵使傳)
장복선전(張福先傳)
이홍전(李泓傳)
소기마전(所騎馬傳)
남령전(南靈傳)
각로선생전(却老先生傳)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교류 : 김려, 김조순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