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유관(柳灌)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유관 (柳灌)
[1484 ~ 154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관지(灌之), 호는 송암(松菴). 명종이 즉위하자 윤원형(尹元衡)·이기 등의 모함으로 일어난 을사사화때 윤임(尹任)·유인숙(柳仁淑) 등과 함께 삼흉(三兇)으로 몰려 종사(宗社)를 모위(謀危)했다는 죄목으로 처벌받았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유관 (柳灌) 1484 1545 위사공신 (衛社功臣) 1521 신사무옥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4대 사화 (四大士禍) 사림파 (士林派) 사화 (士禍) 1545년 1547년 1533년 1521년 1515년 1519년 1515 윤원형 (尹元衡) 1487 윤임 (尹任) 1485 유인숙 (柳仁淑) 1482 조광조 (趙光祖) 1476 이기 (李芑) 1545 명종 (明宗) 1544 조선 인종 (仁宗) 1536 이이 (李珥) 1515 정난정 (鄭蘭貞)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497 백인걸 (白仁傑) 1496 임백령 (林百齡) 1496 허자 (許磁) 1493 성수침 (成守琛) 1491 장경 왕후 (章敬王后) 1491 박세희 (朴世熹) 1488 김구 (金絿) 1486 김정 (金淨) 1486 한충 (韓忠) 1485 김정국 (金正國) 1484 정순붕 (鄭順朋) 1484 이연경 (李延慶) 1482 김식 (金湜) 1481 김안로 (金安老) 1480 이자 (李耔) 1478 이행 (李荇) 1471 남곤 (南袞) 1471 심정 (沈貞) 1471 홍경주 (洪景舟) 1462 정광필 (鄭光弼) 1454 김굉필 (金宏弼) 훈구파 (勳舊派) 1569 동호문답 (東湖問答)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519 위훈 삭제 사건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 백과사전
[1484 ~ 154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관지(灌之), 호는 송암(松菴). 상영(尙榮)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주(霔)이고, 아버지는 장령(掌令) 정수(廷秀)이며, 어머니는 박윤손(朴潤孫)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2년 뒤에 정언(正言)이 되었고, 1513년에 지평(持平)으로 일시 경기도도사에 임명되어 진상(進上)의 전결분정(田結分定)에 따른 폐단의 개선을 건의하였다.
 
그 뒤 장령을 거쳐 1519년 7월에 승정원동부승지에 임명되었으나, 이 때 조광조(趙光祖)를 중심으로 하는 사림파 대간의 강력한 반발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같은 해 11월에 기묘사화가 발생했을 때, 사헌부집의로서 조광조 일파가 득세할 때 심히 교만하고 방종했다고 비난하고, 현량과(賢良科)의 폐지와 그 급제자의 파방(罷榜)을 주장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광조 일파를 공격하였다.
 
그 뒤 동부승지·참찬관·강원도관찰사·대사간·이조참의 등을 거쳐 1525년 12월에는 특별히 통정대부에 승진하면서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어 외직에 나갔다. 이어서 우부승지·병조참판 및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를 겸하고, 예조판서·우참찬·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조판서 재직 시에는 간신인 병조판서 이기(李芑)의 비행을 공격했는데, 이것이 후일 이기의 모함을 받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어서 우찬성·좌찬성에 올랐고 1541년 11월에는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 임명은 중원(中原)에서 오랑캐[㺚子]의 침입과 같은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나자 중신을 파견해 축성(築城)·입거(入居) 문제의 처리와 사신 왕래에 따른 폐단 제거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왕의 배려에 의한 것이었다.
 
그 뒤 인종이 즉위하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승진하였다. 명종이 즉위하면서 윤원형(尹元衡)·이기 등의 모함으로 일어난 을사사화에서 윤임(尹任)·유인숙(柳仁淑) 등과 함께 삼흉(三兇)으로 몰려 종사(宗社)를 모위(謀危)했다는 죄목으로 처벌받았다.
 
처음에는 절도유배형(絶島流配刑)에 처해져 서천으로 귀양갔지만, 온양에 이르러 사사(賜死)되었다. 1570년(선조 3) 신원되었으며, 1577년 복작(復爵)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이기 (6) 백과 윤임 (4) 백과 위사공신 (3) 백과 윤원형 (3) 백과 을사사화 (3) 백과 1545년 (2) 백과 기묘사화 (2) 백과 유인숙 (2) 백과 정순붕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1346 ~ 1433]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하정(夏亭)이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371년(공민왕 20년)에 문과에 급제, 전리 정랑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개국 원종 공신이 되었다. 세종 때 청백리에 뽑혀 수록되었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