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조우인(曺友仁)
조우인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조우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조우인 (曺友仁)
[1561 ∼1625] 조선 중기의 문신. 그의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에는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출새곡(出塞曲)」 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조우인 (曺友仁) 정극인 정철 매호별곡 상춘곡 성산별곡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자도사 自悼詞 가사 조우인 (63) 매호별곡 梅湖別曲 가사 조우인 (51) 출새곡 出塞曲 가사 조우인 (22) 관동속별곡 關東續別曲 가사 조우인(曺友仁) (12)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6.25
【학습】 조선 후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10구이다.
2019.07.17
【학습】 조선 인조 때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78구이다. 필사본 ≪이재영언 蓬齋詠言≫과 ≪간례 簡禮≫에 전한다.
◈ 등록순
2019.07.17
【학습】 조선 인조 때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78구이다. 필사본 ≪이재영언 蓬齋詠言≫과 ≪간례 簡禮≫에 전한다.
2019.06.25
【학습】 조선 후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10구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가사 (4) 백과
▣ 백과사전
1561년(명종 16)∼1625년(인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이재(頤齋). 경상도 예천 출생.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의 증손자이다.
 
저술로는 문집 《이재집(頤齋集)》과 가사집 《이재영언》이 있다.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됐고 1605년에 문과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1616년(광해군 8)에는 함경도경성판관을 지냈다.
 
1621년에는 제술관(製述官)으로 있으면서 광해군의 잘못을 풍자했다가 그 글로 말미암아 3년간 옥에 갇혔다. 인조의 등극으로 풀려나 상주(尙州)의 매호(梅湖)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서예·음악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특히, 그의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에는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출새곡(出塞曲)」 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매호별곡」은 1624년경 그가 노경에 은거하던 상주군 사벌면 매호리에서 자연을 벗하며 한가롭게 살아가는 소박한 선비의 정경을 노래한 작품이다.
 
자도사」는 광해군을 풍자했다가 옥고를 치른 그의 나이 61∼63세 때인 1621∼1623년에 지은 것이다. 임금을 사모하는 충성스런 신하의 마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관동속별곡」은 만년에 정철(鄭澈)의 「관동별곡」을 읽고 느낀 점 있어 전날 젊은 시절에 유람했던 관동지방을 추억하며 쓴 기행가사다. 내용에서 정철의 「관동별곡」과의 중복을 피하고 새로운 장소를 중심으로 노래하고 있다. 이 가사의 서문에는 「속관동별곡」이라고 하여 이 작품의 이름은 두 가지로 불린다.
 
출새곡」은 1616년 가을에 경성부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봄에 변방의 산천풍토와 봄놀이를 두루 즐긴 뒤 쓴 기행가사이다. 서울의 흥인문을 떠나 임지인 경성에 다다르기까지의 노정에서 보고 느낀 것과 임지에서의 봄놀이, 그리고 변방의 목민관의 고독감 등을 노래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