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강호가도(江湖歌道)
강호가도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강호가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강호가도 (江湖歌道)
조선시대 시가문학에 널리 나타난 자연예찬의 문학사조.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강호가도 (江湖歌道) 시조 어부가 연시조 담양군 1533년 송순 이현보 고경명 기대승 김안로 김인후 맹사성 윤선도 이언적 이황 임제 정극인 정철 차천로 홍만종 이덕홍 강촌별곡 강호사시가 낙민가 낙은별곡 면앙정가 상춘곡 어부사시사 노계가 낙지가 개암가 고산유고 농암가 불우헌집 성산별곡 순오지 어부사 청구영언 춘면곡 중종 반정 면앙정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상춘곡 賞春曲 가사 정극인 (897)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 시조 맹사성 (607) 십년을 경영하여 시조 송순 (170) 강호구가 江湖九歌 시조 나위소(羅緯素) (4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시조 (3) 백과 연시조 (2) 백과
▣ 백과사전
조선시대 시가문학에 널리 나타난 자연예찬의 문학사조.
 
조윤제(趙潤濟)가 처음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조선시대의 시가 작품, 예컨대 「강호사시가」·「상춘곡」·「어부사시사」·「창랑곡(滄浪曲)」 등으로, 제목 자체부터 그 내용이 자연 예찬임을 짐작하게 한다.
 
자연 예찬은 조선시대 시가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문학 현상을 조윤제는 문학 사조로 파악해 ‘강호가도’라 부르고, 그 내용을 ‘자연미의 발견’이라 규정, 강호가도의 형성 원인을 조선시대 사대부층의 정치상과 생활상에서 파악하였다.
 
연산군 때부터 줄곧 일어난 당쟁에 휩쓸려 당시 사대부들은 자칫 잘못하면 일신을 보전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명철보신(明哲保身)을 꾀하는 사람은 아예 벼슬길에 나가려 하지 않았고, 기왕에 나간 이는 세상이 어지럽게 되면 벼슬자리에서 물러나려 했다. 이리하여 뜻있는 사람 혹은 풍파에 놀란 사람은 벼슬을 단념하고 당쟁에서 벗어나 산과 들에 파묻혔으니, 장만(張晩)의 다음 시조가 그러한 사정을 말해 준다.
 
“풍파(風波)에 놀란 사공 배 팔아 말을 사니/구절양장(九折羊腸)이 물도곤 어려웨라/이후란 배도 말도 말고 밭 갈기만 하리라(甁窩歌曲集 216).” 이들은 세상일을 잊어버리고 산속과 물가에 뜻을 붙여 밤낮으로 자연에 마음을 팔고, 때로는 맑은 시냇가에서 짐짓 어부인 체하고 하루를 보내며, 벗을 만나면 술병을 열어 놓고 시를 읊어 밤이 깊어 가는 것도 모르면서 태평시대의 한가로운 백성들과 같은 생활을 하였다.
 
한편, 나이 들어 벼슬을 마친 사대부들은 조용히 고향마을에 물러앉아 바쁘던 국가사회의 일도 잊어버리고 산과 물에 즐거움을 붙여 늙어 가고자 하기도 하였다. 송순(宋純)의 “늙었다 물러나자 마음과 의논하니/이 님 바리고 어드러로 가잔 말고/마음아 너란 있거라 몸만 몬저 가리라(甁窩歌曲集 620).”의 시조는 이같은 ‘치사객(致仕客)의 한적(閑適)’을 보여 주는 예이다.
 
연산군시대 이후에 자연은 이런 저런 경우로 인생과 더불어 이해되고, 동시에 문학적으로 그 참다운 아름다움이 점점 발견되어 갔다. 자연이 충분히 이해되고 그 아름다움이 남김없이 발견된 것, 즉 강호가도의 구체적 성립은 이현보(李賢輔)송순에 이르러서부터다.
 
이처럼 강호가도가 성립된 것은 정치적인 문제에서 비롯했으나, 여기에 토지경제적인 뒷받침과 조선시대 사림(士林)의 도학적 문학관의 작용을 간과할 수 없다. 세조 때 토지의 사유화가 이루어져서, 양반들은 이 사유지에 기반을 둔 생활 근거가 마련되어 있었으므로 벼슬에서 물러나 강호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사대부층 가운데 도학자들은 “도의를 기뻐하고 심성을 기르는[悅道義頤心性]”(退溪全書陶山雜詠記) 즐거움은 자연을 매개로 한다고 보았으므로 강호를 동경했고, 강호 문학이 자연 활발히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나타난 이와 같은 특성을 ‘강호가도’로 정립시킨 것은 의의가 깊다. 먼저, 작품에 따라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자연미’라는 보편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작품에 드러난 자연미를 통해 당대인들의 미의식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문학의 특질을 찾아내는 데 긴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강호가도에 관한 연구는 국문학 분야에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다루어야 할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호가사는 가사 장르가 문학적 세련성을 획득하며 구체적인 유형으로 자리 잡을 때 형성된 유형으로, 자연과의 합일을 표방하면서 강호지락(江湖之樂)을 읊은 작품들이다. 혼탁한 세상의 고단함과 갈등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자연에 묻혀 심성을 수양하며 살아가는 강호한정(江湖閑情)과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주로 노래하는데, 이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賞春曲)」, 이서(李緖)의 「낙지가(樂志歌)」, 송순(宋純)의 「면앙정가(俛仰亭歌)」, 허강(許橿)의 「서호별곡(西湖別曲)」, 정철(鄭澈)의 「성산별곡(星山別曲)」, 고응척(高應陟)의 「도산가(陶山歌)」, 차천로(車天輅)의 「강촌별곡(江村別曲)」, 박인로(朴仁老)의 「사제곡(莎堤曲)」·「노계가(蘆溪歌)」, 윤이후(尹爾厚)의 「일민가(逸民歌)」, 정훈(鄭勳)의 「수남방옹가(水南放翁歌)」, 이양오(李養五)의 「강촌만조가(江村晩釣歌)」, 남도진(南道振)의 「낙은별곡(樂隱別曲)」, 박이화(朴履和)의 「낭호신사(浪湖新詞)」, 조성신(趙星臣)의 「개암가(皆巖歌)」, 그리고 작자 미상의 「낙민가(樂民歌)」, 「창랑곡(滄浪曲)」, 「안빈낙도가(安貧樂道歌)」, 「은사가(隱士歌)」 등이 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강호가사(江湖歌辭))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