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기생(妓生)
기생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기생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기생 (妓生)
전통사회에서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 · 춤 및 풍류로 참석자들의 흥을 돋우는 일을 업으로 삼았던 여자.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기생 (妓生) 송도 삼절 기녀문학 부안군 논개 황진이 홍장 이매창 소춘풍 한우 송이 서경덕 이귀 임제 허균 유희경 추풍감별곡 청구영언 해동가요 채봉감별곡 매창집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 촉석루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소설인규옥소선 掃雪因窺玉簫仙 고전 소설 임방 (634) 집념 執念 근/현대 소설 윤백남 (1)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야담 (2) 백과
▣ 백과사전
전통사회에서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 · 춤 및 풍류로 참석자들의 흥을 돋우는 일을 업으로 삼았던 여자.
 

내용

 
일종의 사치노예(奢侈奴隷)라고 할 수 있으며, ‘기녀(妓女)’,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에서 ‘해어화(解語花)’, 또는 ‘화류계 여자(花柳界女子)’라고도 하였다.
 
이익(李瀷)은 『성호사설』에서 기생이 양수척(揚水尺)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양수척은 곧 유기장(柳器匠)으로서, 고려가 후백제를 칠 때 가장 다스리기 힘들었던 집단이었다. 이들은 원래 소속도 없고 부역에 종사하지도 않고,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 버드나무로 키·소쿠리 등을 만들어 팔고 다녔다.
 
후에 이들이 남녀노비로서 읍적(邑籍)에 오르게 될 때, 용모가 고운 여자를 골라 춤과 노래를 익히게 하여 기생을 만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기(妓)와 비(婢)는 원래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 중 비가 기보다 먼저 발생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결국 비나 기는 한 사회의 계급 분화과정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기생의 발생을 무녀(巫女)의 타락에서 찾는 견해도 있다. 즉, 고대 제정일치사회에서 사제(司祭)로서 군림하던 무녀가 정치적 권력과 종교적 권력이 분화되는 과정에서 기생으로 전락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원래부터 세습되어 내려온 기생 이외에도, 비적(婢籍)으로 떨어져내려와 기생이 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반역을 꾀한 역신(逆臣)의 부녀자들이다.
 
고려시대에 근친상간의 금기를 범한 상서예부시랑 이수(李需)의 조카며느리를 유녀(遊女)의 적에 올린 경우와, 조선 초기 사육신(死六臣)의 처자들을 신하들에게 나누어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조선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친정어머니를 제주감영의 노비로 삼았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기생은 노비와 마찬가지로 한번 기적(妓籍)에 올려지면 천민이라는 신분적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기생과 양반 사이에 태어난 경우라도 천자수모법(賤者隨母法)에 따라 아들은 노비, 딸은 기생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기생이 양민으로 되는 경우도 있었다. 즉, 속신(贖身)이라 하여, 양민부자나 양반의 소실이 되는 경우 재물로 그 대가를 치러줌으로써 천민의 신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었다.
 
한편, 기생이 병들어 제구실을 못하거나 늙어 퇴직할 때 그 딸이나 조카딸을 대신 들여놓고 나오는데, 이를 두고 대비정속(代婢定屬)이라 했다.
 
고전소설인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에는 양반의 딸이 아버지의 빚을 갚아주기 위해 기녀가 되는 얘기도 있다. 이런 기생은 조선사회에서 양민도 못되는 이른바 팔천(八賤)의 하나였다.
 
다만 그들에게 위안이 있다면, 첫째 양반의 부녀자들과 같이 비단옷에 노리개를 찰 수 있었던 점이고, 둘째 직업적 특성에 따라 사대부들과의 자유연애가 가능했다는 점이며, 셋째 고관대작의 첩으로 들어가면 친정을 살릴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신분적 제약으로 인해 이별과 배신을 되풀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불후의 시조시인으로 꼽히는 송도 명기 황진이(黃眞伊)는 시조 뿐 아니라 한시에도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서경덕(徐敬德)과의 일화는 유명하다.
 
부안 명기 이매창(李梅窓)은 당시 문인과 명신들인 허균(許筠)·이귀(李貴) 등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중종 때는 선비들이 그녀의 시비를 세워주었다. 그 밖에 송이(松伊)·소춘풍(笑春風) 등 시조시인으로 이름을 남긴 시기(詩妓)들이 많다.
 
기녀들이 국문학에 끼친 영향 중 가장 큰 것은 고려가요의 전승이라 하겠다.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짙은 정한(情恨)의 고려가요는 대부분 그들의 작품으로 보여진다. 한편 진주 기생 논개(論介)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의기(義妓)로 꼽힌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기생이 일패(一牌)·이패·삼패로 나뉜다. 일패기생은 관기(官妓)를 총칭하는 것으로, 예의범절에 밝고 대개 남편이 있는 유부기(有夫妓)로서 몸을 내맡기는 일을 수치스럽게 여겼다. 이들은 우리 전통가무의 보존자이며 전승자로서 뛰어난 예술인들이었다.
 
이패기생은 은근짜[隱君子]라고 불리며 밀매음녀(密賣淫女)에 가깝다. 삼패기생은 이른바 창녀(娼女)로서 몸을 파는 매춘부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는 한말의 기생학교·기생조합이 권번(券番)으로 바뀌었다. 권번은 서울·평양·대구·부산 등 대도시에 있었고, 입학생들에게 교양·예기·일본어 학습을 시켜 요릿집에 내보냈다. 일부 기생들은 권번의 부당한 화대(花代) 착취에 대항하여 동맹파업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한편, 어떤 친일파 인사가 거금을 주고 당시 이름난 요정인 서울 명월관(明月館)의 진주 기생 산홍(山紅)을 소실로 삼으려 하자, “기생에게 줄 돈이 있으면 나라 위해 피흘리는 젊은이에게 주라”며 단호히 거절하여 의기의 맥을 이었다. 그 밖에도 일제강점기에는 애국충정과 관련된 기생들의 일화가 많다.
 
광복 이후 권번이 사라지면서 기생 또한 없어지는 듯했으나, 요즈음에도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는 요정에서의 ‘기생파티’가 주요 관광상품으로 등장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된 적도 있다.
 
흔히 기생과 같은 여성들을 두고 필요악적 존재라고 하거나, 하나의 직업여성으로 다루려고 하지만, 대부분의 여성운동가들은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여성 자신의 분발과 남성들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동가요(海東歌謠) 아홉명의 유명한 기생
그중에서도 송이는 기생 작가중 제일 많은 14수의 시조를 남겼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어떤 생물이 다른 생물의 몸에 붙어서 양분을 빼앗아 먹고 사는 일. 기생하는 동물을 기생충이라 하고, 기생하는 식물을 기생 식물이라고 하며, 기생당하는 생물을 숙주(기주)라고 한다.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