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문인들이 서울 주변에서 조직한 문학 단체이다. 시사에 참여하는 중인층은 문학 활동을 펼치면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였고, 역대 시인들의 시를 모아 시집을 간행하기도 했다.
시사의 조직은 17세기말 숙종 때의
임준원(林俊元)을 맹주로 한
낙사시사(洛社詩社)를 필두로 18세기말 정조 때의
옥계시사의 조직이 본격적인 것이다. 그 맹주는
천수경으로 그의 집 뜰 송석원(松石園)이 이들 시 동인들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송석원시사로 별칭되기도 한다. 옥계는 인왕산에 있던 옥류동천을 이른다. 옥계시사의 주요동인이던 장혼·김낙서(金洛瑞)·왕태(王太)·이경연(李景淵) 등이 모두 이 부근에 집중적으로 모여 살면서 돌아가며 시모임을 열어 상호 분발하고 탁마(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하였다. 봄·가을 좋은 날을 택하여 오늘날의 백일장에 해당하는 ‘백전’(白戰)이라는 시경연 대회를 열었다. 수백 명씩 참가하는 성황을 이루었다. 백전은 당대 위항문사(文士)들의 큰 잔치였으며 위항 문학 운동의 핵심이 되었다. 박윤묵(朴允默)·이의수(李宜秀)·김태욱(金泰郁)·노윤적(盧允迪)·조수삼(趙秀三)·차좌일(車佐一) 등도 옥계시사의 중요한 시인들이다. 이 중에서 박윤묵·조수삼 등은 19세기 중반까지 생존하여 다음대 후배 시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19세기 전반의 소규모 시사들이 분립한 곳도 바로 이 인왕산 기슭이다. 서원시사, 비연시사, 직하시사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1870년대 말 개항 직후에 결성된
육교시사는 장소가 중인 계층의 집단 거주지인 청계2가 부근이었다. 장소가 서울의 중앙으로 옮겨짐과 동시에 그 주도 인물도 전대의 경아전(京衙前: 규장각의 서사들이 핵심이 되었음.) 중심에서 기술직 중인(技術職中人, 세칭 醫譯中人)으로 대체된다. 맹주는 강위였다. 변진환(邊晉桓)·백춘배(白春培)·김재옥(金在玉)·이명선(李鳴善)·함혜영(咸蕙永)·배전(裵唆)·이용백(李容白)·박승혁(朴承翊)·유영표(劉英杓)·이기(李琦)·고영철(高永喆)·고영선(高永善)·고영주(高永周)·현은(玄隱)·김경수(金景遂)·김득련(金得鍊)·이전(李唆)·지운영(池運永)·지석영(池錫永)·박영선(朴永善)·변위(邊蔔)·변정(邊崙)·김석준(金奭準)·김한종(金漢宗)·황윤명(黃允明) 등이 중요한 동인들이다. 이들은 모두 의역중인 출신이다.
전대의 시사들이 위항 문학 운동을 통한 신분상승 운동을 꾀하고 그 구성원들은 위항문사·위항시인으로 자족하였다. 그러나 육교시사에 이르러서는 북학의 종장 김정희 문하에서 성장한 의역중인이 중심이 되었다.
시를 짓고 즐기기 위하여 모인 모임. 시계(詩계)․수계(修계)라고도 한다. 중국 진대(晉代)에서 왕희지(王羲之)가 난정시사(蘭亭詩社)를 만든 데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의 기로회(耆老會)․죽림고회(竹林高會) 등이 이러한 성격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16세기경에 성립된
낙송루시사(洛誦樓詩社)․
자각시사(紫閣詩社)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격상 시사는 시를 짓고 즐길 수 있는 계층의 소산으로, 주로 양반 사대부들에게 해당하는 것이었다. 정약용(丁若鏞)․이치훈(李致熏) 등 14명이 모인
죽란시사(竹蘭詩社), 연산군 때 낙향한 조춘풍(趙春風) 등의 모임인
학시사(鶴詩社)가 그러한 것들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중인계층(中人階層)에서도 시작된 시사는 근세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이 지속되면서
위항문학(委巷文學)이라는 새로운 조류를 형성한 데에 역사적 문학적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사라고 하면 중인들의 위항시사를 먼저 떠올리게 되었다. 관청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던 중인들은 역관(譯官)을 하거나 의업(醫業)․산술(算術) 및 규장각(奎章閣) 등에서 일을 하였다. 따라서 한시(漢詩)에 대한 조예가 필요하였으므로 한시문을 지을 수 있는 지적 능력을 구비하고 있었다. 더욱이 서울 북촌(北村)에 집단으로 거주하였기 때문에 그들끼리 어울릴 수 있는 여건도 갖추어져 있었고, 통청운동(通淸運動) 등의 분위기에서 그들만의 시사가 결성되었다. 양반 사대부들의 도움을 받고 그 시사를 의방(依倣)한 것이지만, 향유계층(享有階層)의 확산이라는 점에서 위항시사의 시대적 의의는 적지 않다.
천수경(千壽慶)과 장혼(張混)을 중심으로 결성된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일명 玉溪詩社)가 대표적인 중인들의 위항시사이며, 기타
서원시사(西園詩社)․
비연시사(斐然詩社)․
직하시사(稷下詩社) 등이 송석원시사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계층의 성격상 신분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불만과 좌절을 읊은 시들이 이러한 시사를 통해 많이 나왔다. 이들 위항시사를 중심으로 《소대풍요(昭代風謠)》 《풍요속선(風謠續選)》 등의 위항시집들이 간행된 것도 특기할 만한 현상이다.